-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ffects and Effects of Port Authority on Regional Transfer - Application of Difference in Difference Model(DID) -
- 발행기관
- 한국지방행정학회
- 저자명
- 정혜진(Hyejin Jung) 서인석(Inseok Seo) 송효진(Hyojin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지방행정학보』제16권 제2호, 37~5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지방자치제도의 안정화 추세는 항만개발・관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오고 있다.
항만의 개발 및 관리 권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가 높아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여전히 항만권 이전이 운영상의 편익을 떨어뜨릴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하여 항만권 이전에 대한 논의조차 진척시키지 못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항만권한을 지방으로 이전한 이후 실제 항만운영 편익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을 항만권법 개정
이후에 지방관리항으로 이전된 항과 아닌 항으로 하고 물동량의 효과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물동량이 exp(0.32)에서 exp(0.363)의 수준까지 나타나, 로그치환의 결과로 약 1,377 TEU에서 1,483 TEU 수준의 증대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 실효성에 맞는 항만운영의 결과라고 추론할 향후 항만운영에 있어 지방권한의 확대가 장기적으로 정책성과를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recent stabilization trend of local autonomy has brought new attention to port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change in the actual benefits of port operation since port authority was transferred to a local area. The purpose of the analysis was to se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volume of goods and services, not the port that was transferred to the local administrative port after the revision of the Port Authority A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olume of goods showed up to the level of exp (0.32) to exp (0.363), and as a result of the logarithmic recovery, the level of increase of 1,377 TEUs to 1,483 TEUs was
confirmed. In future port operations, which will be inferred as the result of port operations that fit regional effectiveness, the expansion of local authority could be a way to enhance policy performance in the long run.
목차
I. 서 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논의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자치단체 채무절감노력이 민자사업재정부담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방정부의 정체성 표현에 대한 연구 - 제도적 환경과 행위자성의 증대 -
- 정부의 역량과 정부간 협력에 대한 인식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 항만관리권의 지방이양에 따른 영향 및 효과 분석 - 항만법 개정 이후에 대한 이중차이모형(DID)의 적용 -
- 2018년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의 특징 분석 - 2006년 지방선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농업・농촌의 공익 기능 법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 평생학습도시를 통한 사회적 자본 형성 - 당진시, 수원시, 안동시 사례를 중심으로 -
- 공공개발사업의 갈등인과모형 구축 연구 - 시스템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
- 지방공기업 부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내부효율성, 청렴성, 투명성을 중심으로 -
- 제주지역 여행상품 유통경로의 불공정 구조 분석 - 중국 단체관광시장관리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Predicting Hotel Economic Trends Using Machine Learning and Time Series Analysis Models
- 지방의원의 대의역할 인지와 의정활동 관계 연구: 경기도 대도시 기초의회 의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 and the Logic of China’s Sustainable Transformation: Focusing on Policy Discourse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