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해화학물질 누출궤적 평가모듈 개발을 통한 화학공장 방류벽 높이의 적정성 평가
이용수 49
- 영문명
- Appropriateness Assessment of Dike Height of a Chemical Plant through Development of a Hazardous Chemical Leakage Trajectory Evaluation Module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유병태(Byungtae Yoo⋅ ) 김형기(Hyeonggi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3 No.4, 121~12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부는 2015년 보다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화학물질을 관리하고 취급 할 수 있도록 법 제명 변경과 함께 「화학물 질관리법」을 전부개정 하였으며, 특히 유해화학물질을 제조·저장·보관하는 취급시설의 설치 및 관리 기준을 대폭 강화하였다. 하지만, 일부 취급시설 기준의 경우 물리적인 공간부족과 시설개선과정 중 사고발생우려 등의 이유로 강화된 기준을 이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생김에 따라 이러한 시설에 대해 2018년부터 “안전성평가”라는 특례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물질 누출궤적 평가모듈 개발을 통해 현장에 설치된 염산과 황산 저장탱크의 방류벽 높이 적정성을 검증하고 이격거리에 따른 방류벽 높이를 제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산업현장에서는 보다 손쉽게 해당 취급시설의 안전성 평가 특례신청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설계에도 활용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Chemical Control Act of 2015 was enhanced to ensure the safe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substantial changes in the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handling facilities for manufacturing and storing hazardous chemicals. However, some standards for handling facilities are difficult to implement due to a lack of physical space or because of safety accidents during facility improvements. Therefore, the Safety assessment system (SAS) has been operating for such facilities since 2018. This study developed a leakage trajectory evaluation module that can easily evaluate the outside of a dike for safety evaluation. We analyzed two case studies on a dike for hydrochloric acid and sulfuric acid storage tanks with this module and suggest a reasonable plan for the facility.
We believe that it will be possible to more easily submit SAS reports at chemical plants by using this evaluation modul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design of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목차
1. 서 론
2. 방류벽(Dike)에 대한 국내기준
3. 화학물질관리법령상 안전성평가제도
4. 유해화학물질 누출궤적 평가모듈
5. 사례연구
6. 결론 및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룸코너 시험을 이용한 배관용 보온재의 난연성능 분석
- DMF함유 혼합 유기용제에 대한 인화점의 측정과 평가
- 가스계 소화시스템 노즐 수축각이 방출소음에 미치는 영향
- 전자공장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가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교안전 인식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 소방서 실내공간의 화학적 유해인자 2차노출과 실내공기질 특성
- 임계온도스위치를 이용한 저전력 단독경보형 정온식 감지기 개발
- 국내 고층건축물의 제연설비 성능 개선을 위한 국내·외 급기량 관련 기준 비교연구
- 구획실 내 가연물들의 화재거동에 대한 B-RISK와 FDS 연계 화재 시뮬레이션 예측성능 평가
- ESS 리튬배터리의 과충전 및 외부수열에 따른 화재위험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실리콘 화합물로 처리된 목재의 새로운 연기위험성 평가
- 유해화학물질 누출궤적 평가모듈 개발을 통한 화학공장 방류벽 높이의 적정성 평가
- 흡음재의 연소 생성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및 법률 개정 제언
- 재난안전사법경찰제도의 발전 방안 연구
-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통한 경보음 전달 예측과 개선
- 방유벽 내 위험·유해화학물질 대기 확산 방지를 위한 안전시스템 연구
- 콘 칼로리미터의 배기 덕트 내부 유동 특성 기초 실험
- 공연장 무대부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 검토를 위한 축소모형 실험
- 가솔린 풀 화재에서 인체 호흡량 변화를 고려한 연소가스 농도 측정 결과 분석
- KORA 프로그램을 활용한 벤젠 누출사고 피해영향범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