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MF함유 혼합 유기용제에 대한 인화점의 측정과 평가
이용수 16
- 영문명
-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Flash Point for the DMF Contained Organic Solvent Mixture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이정석(Jung-Suk Lee) 한우섭(Ou-Sup Han) 이근원(Keun-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3 No.4, 9~1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합성피혁 제조 공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혼합 유기용제 중에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를 기준물질로 톨루엔과 메틸에틸케톤 등이 혼합된 2성분 및 3성분 혼합물질 7종류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인화점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몇 가지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인화점을 예측하고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2성분 혼합물에서 DMF 몰분율이 약 0.7 이하인 경우는 혼합물의 인화점이 25 ℃이하로 관측되어, 고인화점 물질의 혼합에 의한 인화점상승에 대한 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균온도차이를 이용하여 각 모델별 예측값을 평가한 결과, 르샤틀리에 모델의 경우가 1.95 ℃로 측정값에 가장 근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flash points of DMF based organic solvent mixtures used in the synthetic leather manufacturing process were measured. The test group was composed of seven types of solvent mixtures, which included DMF, toluene, and MEK. Each flash point was test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of KS M 2010. The flash points were then predicted using some prediction models and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binary mixtures with a mole ratio of less than approximately 0.7 showed that the measured values were under 25 ℃. This showed that the expectation for the flammable risk lowering effects due to the mixing of high flash point materials was reduced.
In addition, the predicted values were evaluated using the average absolute deviation (A.A.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 Chatelier’s models had an “A.A.D” of 1.95 ℃ and were the closest to the measured values.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룸코너 시험을 이용한 배관용 보온재의 난연성능 분석
- DMF함유 혼합 유기용제에 대한 인화점의 측정과 평가
- 가스계 소화시스템 노즐 수축각이 방출소음에 미치는 영향
- 전자공장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가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교안전 인식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 소방서 실내공간의 화학적 유해인자 2차노출과 실내공기질 특성
- 임계온도스위치를 이용한 저전력 단독경보형 정온식 감지기 개발
- 국내 고층건축물의 제연설비 성능 개선을 위한 국내·외 급기량 관련 기준 비교연구
- 구획실 내 가연물들의 화재거동에 대한 B-RISK와 FDS 연계 화재 시뮬레이션 예측성능 평가
- ESS 리튬배터리의 과충전 및 외부수열에 따른 화재위험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실리콘 화합물로 처리된 목재의 새로운 연기위험성 평가
- 유해화학물질 누출궤적 평가모듈 개발을 통한 화학공장 방류벽 높이의 적정성 평가
- 흡음재의 연소 생성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및 법률 개정 제언
- 재난안전사법경찰제도의 발전 방안 연구
-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통한 경보음 전달 예측과 개선
- 방유벽 내 위험·유해화학물질 대기 확산 방지를 위한 안전시스템 연구
- 콘 칼로리미터의 배기 덕트 내부 유동 특성 기초 실험
- 공연장 무대부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 검토를 위한 축소모형 실험
- 가솔린 풀 화재에서 인체 호흡량 변화를 고려한 연소가스 농도 측정 결과 분석
- KORA 프로그램을 활용한 벤젠 누출사고 피해영향범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