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댄스스포츠 여성 지도자들의 직업 정체성 형성과정 탐색
이용수 104
- 영문명
- Research on the process of dance sport female instructor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 인(Lee 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4호, 393~41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여성 지도자의 실제적인 경험을 이해하고 이들이 직업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과정을 범주화 및 정형화하여 실체이론을 제시함으로써 교육환 경을 개선해나가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이론적 표본추출 방법에 근거하여 6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2017년 7월부터 10월까지 심층면담과 문서 수집을 실시하였다.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첫 번째, ‘댄스스포츠 여성 지도자들의 직업 정체성 형성 과정의 범주화’를 통해 102개의 개념과 29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 다. 두 번째, ‘댄스스포츠 여성 지도자들의 직업 정체성 형성 과정의 구조화’를 통해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을 실시하였고 각각의 속성과 차원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댄스스포츠 여성 지도자들의 직업 정체성 형성 과정 구축’에서는 핵심범주로 ‘변화를 통한 성장과 적극적인 참여로 댄스스포츠 여성 지도자로서 자리 잡기’를 선정한 후, 8개의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진술을 토대로 ‘변화희망형’, ‘현재만족형’, ‘성장추구 형’의 3가지 유형을 도출함으로써 ‘댄스스포츠 여성 지도자들의 직업 정체성 형성과 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댄스스포츠 여성 지도자들은 다각적인 변화를 시도하였고 학원 내, 외에서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자신의 입지를 다져나감으로써 지도자로서의 성장을 경험하였으며 현재에 만족하거나 더 나은 변화를 꿈꾸면서 앞으로의 모습을 기대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 to help dance sports female instructors to settle down smoothly as a leader and to vitalize female instructor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categorizing and standardizing the process of forming job identity and suggesting a substantive theory.
This study gradually selected 6 research participants based on the theoretical sampling method, conducted in-depth interview, and collected documents. For method of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s(1998) 3-step analysis, and conducted member check and peer debriefing during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 to secure integrity of data. As a result, 102 concepts, 29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a open coding, ‘the categorization of career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female dance sports leaders.’ This study arranged categories on 6 components by conducting a domain analysis by paradigm through axial coding, ‘structuraliza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of female dance sports leaders’ and identified each property and level. ‘To establish oneself as a female dance sports leader by growth through changes and active participation’ was selected as a core category of axial coding ‘structuraliza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of female dance sports leaders,’ and derived three types as ‘hopeful type for changes,’ ‘satisfaction type of present life,’ and ‘success pursuing type’ by conducting typological analysis based on 8 hypothetical standardization and relationship statements. This study derived ‘substantive theory of the formation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of female dance sports leaders’.
female dance sports leaders attempted multiple changes, experienced growth as a leader by establishing their position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side and outside the academy, and expected to improve themselves by being content with their present situation or dreaming for chang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래교육’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에 관한 신문 담론을 중심으로
- 통일 전후의 독일 체육교육과정 비교를 통한 체육교육통합의 시사점 탐색
- 직장 초년생이 인식한 대인관계능력, 자기효능감및 직장생활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행동지원의 매개효과
- 담화 차원의 은유 고찰과 시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박목월 시의 거울화 양상을 중심으로
-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의 교육적 활용 방안 및 향후 방향 탐색
- 한국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신건강 메타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 수학 학습에서 표상 번역 능력과 이해의 관계
-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으로 조절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유형별 취업불안, 외모만족도 및 자기표현성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의 일차함수 개념 형성 과정 담화 분석
- 대학 전공 영역별 플립러닝의 교실수업 활동 유형 분석
- 성인학습자의 내적동기에 관한 연구: 기업 HRD 참여자 중심으로
-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과 부부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갈등대처방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 학습자 중심의 교양영어 발전방안: 전공계열별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탈북학생의 실생활 문제 해결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개념의 교과교육적 확장 모델 연구
- 고등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 계획서 분석
-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모형을 적용하여
- 간호대학생의 집단 학습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아동학대의 변화궤적 유형에 대한 예측요인 연구
- 의미망을 활용한 도식화 활동의 영어 독해 학습 효과
- 간호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공감역량이 사회적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탐색과 진로설계 수업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학습 포트폴리오 기반 수업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한 혁신교육 확산을 위한 학교장의 역량 탐색
-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생의 전공학과 만족도, 진로장벽, 학업지속의향과의 관계: 진로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통합학급 교사가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학습지도에 대한 어려움 요인 분석
-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나타난 쟁점과 과제
-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 및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댄스스포츠 여성 지도자들의 직업 정체성 형성과정 탐색
- 게임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게임의 문화적 속성과 경험을 중심으로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자기조절력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 학습자특성에 따른 수강신청기준의 차이
-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교사의 정신건강 및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초등교사들의 수학학습양식 및 유형 분석
- 문학교육 제재로서 박완서 소설의 수록 양상 고찰
- 취업스트레스, 학습된 무력감, 구직효능감 및취업준비행동의 관계
-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척도를 통한 프로파일 분석 및 활용
-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상호인과관계와 예측요인
- 졸업예정 간호대학생의 취업준비도와 취업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대학에서 핵심역량의 유형과 의미 탐색: ACE+ 사업 참여 대학을 중심으로
- 한국과 미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연구
- 학생 데이터 통합과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학사경고 예측 요인 분석: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