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자녀의 부모와 대안관계 간 자원교환 연결형태가 부모에 대한 권력사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5
- 영문명
- Adolescent children’s network connection type between parents and alternatives and its effect on power use over parents.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김현주(Kim Hyun ju) 김정민(Kim Jung Min)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1집 2호, 58~91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형성하는 관계를 교환이론적 관점에서 조망하여, 자녀들이 부모와 대안관계에서 제공받는 자원의 특성과 부모와 대안 간의 자원연결의 특성을 밝히고, 자원의 연결형태에 따라 부모에 대한 권력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중・고등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각 대상으로부터 제공받는 자원수혜수준을 비교한 결과, 물질적 자원은 대안보다는 부모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아버지보다 어머니 의존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상징적 자원은 대안이 제공하는 수준도 상당히 높음을 발견하였다. 부모와 대안 간 관계는 대체적 관계보다는 상보적 관계가 우세하였으나 부모의존집단이 가장 많았다. 자원의 속성들 간, 관계들 간의 정적상관이 높아서 청소년들의 이용 가능한 자원 수준에서 격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음도 발견하였다. 자원의 연결형태에 따른 권력사용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권력-의존이론이 예측하듯이 권력사용은 부적 연결형태에서만 의미가 있었다. 부적 연결형태에서 어머니의 자원이 아버지 자원에 대한 대안으로 작용하여 자녀의 아버지에 대한 권력사용을 증가시켰다. 반면 어머니의 물질적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자녀들이 예상과 달리 어머니에게 더 많은 권력을 사용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자녀의 학업성취에 치중되어 있는 한국가족의 자녀중심성으로 인해 자녀의 부모에 대한 의존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어머니에게는 자원제공자로서의 정체성을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resource connection between parents and alternative relations and also analyzes the effect of connection types on children’s power use on their parents, from the exchange theory perspective. We collected data from 254 middle to high school students. As results of comparing the level of received resources, children depended more on parents’ material resources than on alternatives’ and also depended more on mother’s than on father’s. However, children received high level of symbolic resources from the alternatives. We found that complementary type was dominant comparing to substitutable type between parents and alternatives. However, parents dependent type was thelargest group. We also found that there are highly correlated resource areas
and also resource givers. Th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could be resulted in high level gap in the available resources among children. As power-dependence theory expected, there was significant effects of alternative resources on power use where the resource network connection type was negative. In case of negative connection, mothers’ resources which was the alternative to fathers’, increased the child’s power use on fathers. However, children who depended more on mothers’ material resource, used more power on their mothers. This contradictory finding would be reflecting the dependent child identity, which is taken for granted in the child-centered Korean famil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