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rend of Individual Public Land Price of Dokdo in 2008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이범관(Lee, Beom Gwan) 김종남(Kim, Jong Nam)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27호, 85~9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독도에 대한 정부의 실효적 지배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2007년도에 비해 2008년도 독도의 개별공시지가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상의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은 공시지가로 한정하고, 그에 따른 연구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2007년부터 2008년으로 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독도리로 하였으며, 내용적 범위는 독도리 개별공시지가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접근방법은 행정적 접근방법으로 하였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2007년도 대비 2008년도 독도리의 개별공시지가는 9.1%, 표준지 공시지가는 11.9%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ublic land price of Dokdo. In order to efficiently attain the purpose of the study, we used a legal and administrative method. Moreover, we used a method of documentary reference and internet research to acquire the data needed.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we used a descrip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andard public land price and individual public land
price have gone up compared to 2007 in Dokdo.
목차
Ⅰ. 서론
Ⅱ. 개별공시지가의 이론적 고찰
1. 개별공시지가의 개념
2. 개별공시지가의 산정방법 및 절차
3. 개별공시지가의 필요성
Ⅲ. 독도리 개별공시지가의 현황 분석
1. 표준지 공시지가 현황
2. 개별공시지가 현황
Ⅳ. 2008 독도리 개별공시지가 동향
1. 표준지 공시지가
2. 필지별 개별공시지가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