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ment of Qualitative Demand Indicator of New Stay Supply Promotion District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남영우(Nam, Young Woo) 김용순(Kim, Yong Soon) 이경애(Lee, Kyonug Ae)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45호, 205~2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뉴스테이사업의 공급촉진지구선정을 위한 정성적 수요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에는 사업지구별로 평가모형이 다르게 적용되고 정량적 평가가 많아 같은 지방자치단체 내에서는 동일한 평가결과가 나타나는 등 사업지구선정과정의 일관성과 사업지구의 차별성이 모두 고려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압력도와 경쟁적 공급관계를 포함하여 정성적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AHP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기존에 선정된 촉진지구에 적용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촉진지구에 선정된 지역의
경우 평가모형에서 도출된 점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촉진지구 선정 시 합리적인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qualitative demand evaluation model for the selection of supply promotion districts for the New Stay project. Until now, evaluation models have been applied differently by business districts and there are many quantitative evaluations.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consistency of the selection process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business distri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qualitative evaluation model including demand pressure and competitive supply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AHP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expert group and the validity of the model was verified by applying it to the selected promotion district. In the selected districts in the promotion district, the score derived from the evaluation model was also high.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make a reasonable evaluation when selecting the promotion distric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선행연구
2. 뉴스테이 정책의 특성 및 현황
Ⅲ. 뉴스테이 공급촉진지구 정성지표 평가모델 구축
1. 정성적 수요평가지표의 필요성 및 도출방향
2. 기존 적용 사례를 통한 정성평가항목 도출
3. 전문가설문과 AHP분석을 통한 평가지표 개발
4. 경쟁적 공급관계의 분석 및 평가지표 반영
5. 정성지표 평가모델 설명 및 시뮬레이션
Ⅳ. 시사점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mparison of Korean and Foreign Elderly Housing Welfare Policy
- 지방정부 도시재생사업 평가모형 개발연구 (델파이 기법과 AHP기법을 중심으로)
- 부동산 투자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 대한부동산학회지 제45호 목차
- 공공선도형 재정비사업 지원을 위한 지역주택기금의 개념모형
- 부동산가격형성과정에서 공인중개사의 역할연구
- 가구 연령별 가계부채 상환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소규모 공동주택 관리에 대한 인식연구
- 중국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현황 및 정책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대규모 신도시개발에 따른 공간 및 입지특성이 아파트시장에 미치는 시계열적 변화: 세종시를 중심으로
- 뉴스테이 공급촉진지구의 정성적 수요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
- 세대별 경제적 노후준비에 대한 인식 연구
- 한 ·일 양국의 건축협정 사례 비교 연구
- 장수명 주택의 가변성 등급이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Sustainable Rural Transformation: Leveraging Resilience and Inclusive Growth Through the Lens of the Saemaul Undong Model
- Identifying Mangrove Forest as a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Sustainable Ecotourism: A study in Sayung Subdistrict, Demak Regency, Central Java, Indonesia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rrigation Scheme Participation and SRI Adoption Among Smallholder Farmers: A Case Study of Zomba District, Malawi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