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틴아메리카 국제중재의 최근 발전경향과 특징
이용수 14
- 영문명
- Rec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in Latin American Countries
- 발행기관
- 한국중재학회
- 저자명
- 조희문
- 간행물 정보
- 『중재연구』 제18권 제1호, 97~11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luctance of Latin American countries to practice international arbitration is not a new topic in international law. This reluctance historically based on Calvo Doctrine provoked not only the absence of Latin American countries from the major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conventions, but obsolete national arbitration legislation.
Recently, however, these countries have undertaken major steps showing that the region is no longer reluctant to practice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Most Latin American countries have ratified the 1958 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 New York Convention ), the 1965 Convention on the Settlement of Investment Disputes ( Washington Convention ) and the 1975 Inter-American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 Panama Convention ).
The majority of Latin American countries have also modified and adapted their national legislation on arbitration to the UNCITRAL model law. Even judiciary has been following this pro-arbitration.
This article will focus on some of these factors provoking the acceptanc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in Latin America to trace the common trends and characteristics in an attempt to understand better how international arbitration set on its place firmly.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five countries, Brazil, Argentina, Chile, Mexico and Venezuela, to analyse legislations and jurisprudence.
Latin America is ready to challenge any obstacles to promote arbitration as alternative methods of judicial resolution. There is an ever-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in Latin America. Both practitioners and judiciary have shown desires to promote the resolution of disputes by arbitration and used the legal instruments to ensure that process interpreting and applying legislations for pro-arbitration. Even there remains Calvo Doctrine s culture in Latin America still now, it should be certain this culture will disappear from the conduct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중재에 관한 다자협약의 가입현황을 통해 본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태도변화
Ⅲ. 라틴아메리카 주요 국가들의 중재법 경향
Ⅳ. 라틴 아메리카 각국 국내법원들의 중재에 대한 태도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라틴아메리카 국제중재의 최근 발전경향과 특징
- ADR제도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인천경제자유구역 국제중재센터 설립 및 운영방안
- ICC 중재법원의 판정사례에 관한 연구 -이집트와 유고슬라비아의 철강제수출입분쟁사건을 중심으로
- 미국에 있어서 비서명자에 대한 중재합의의 효력
- 남북상사중재에 있어 중재인 선정방식에 관한 연구
- Case Study of Korean-French Companies Dispute at the Arbitration Stage in the ICC Arbitral Tribunal and at the Enforcement Stage in the Korean Court
- 북한 대외경제중재법의 실효성 고찰
- 중재인의 공정성과 독립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NEW
-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특성인식이 인스타그램 팔로워 반응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유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Export Diversification: Analyzing Export Product and Partner Variety Extensive Margins
- 수출입기업의 환위험 관리를 위한 환율 예측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