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요체와 평가
이용수 290
- 영문명
- The Key Factors in Reinhold Niebuhr’s Christian Realism and Its Evaluation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한배호(Bae-Ho Han)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2집(2018년 가을호), 13~3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독교 현실주의는 비관주의도 낙관주의도 아니라는 점에서 역설적 이면서 변증법적이다. 아마 그래서 패터슨 (Patterson) 이 니버에게 “현실 적인 낙관주의자” (realistic optimist) 라는 새로운 호칭을 붙이고 있는지도 모른다. 니버를 현실주의적이라고 보는 이유는 니버가 인간의 본성을 죄를 짓기 쉬운 존재로서 현실적으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가 낙관주의적이었다면 하나님이 인간에게 자유와 그것을 활용하는 능력으로서 창의성을 주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기독교 현실주의는 교리는 아니다. 인간 본성이 지닌 죄와 창의성을 동시에 중요시하면서 정치와 윤리 (도덕) 문제를 현실적으로 파악하려는 기독교적, 신학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 사상은 일찍이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에서 싹트기 시작하면서 기독 교적 시각에서 사회 전반의 문제들을 다루려는 운동으로 발전했다고 할수 있다. 그것이 더 깊은 내용을 지닌 것으로 진전하게 된 배경에는 유럽 에서 벌어진 1차 대전과 2차 대전이 미친 영향도 한몫했다. 두 번의 전쟁을 겪은 유럽과 미국에서, 신학자들의 국제 정치 문제와 전쟁에 대한 기독교 현실주의 주장이 더 설득력을 더해 갔다.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와 정치를 다룬 두 권의 책이, 히틀러가 폴란드를 침략한 얼마 후, 1940 년대 초에 출판된 것은 단지 우연은 아니다. 니버는 미국의 국내 정치와 윤리 문제에 대해서도 많은 글을 썼지만, 특히 독일, 이탈리아, 소련에 등장한 전체주의 세력의 팽창을 심각하게 우려하였다. 미국만이 그 세력에 대항할 수 있는 국가라는 것을 강조하였으며, 후에 미국의 유럽 전쟁 참전을 위해 교회가 적극적인 역할을 하도록 노력했다.
이 글에서는, 기독교 현실주의 사상에서 논의되는 몇 가지 논점들, 도덕 이원론, 기독교 시각에서의 자유주의와 마르크스주의 비판, 구조에 대한 강조, 정의와 사랑, 전쟁과 평화, 죄와 타락 등의 문제를 다루었다.
또 기독교 현실주의에 대한 중요한 비판으로 국제 정치학자들과 해방신 학의 비판을 간략히 다루었다.
영문 초록
As early as in the 1920s, some Protestant theologians in the U.S. were already searching for ideas for coping with important social issues emerging in rapidly changing industrial America. For instance, McIntosh at Yale Divinity School co-authored a book, entitled Religious Realism.
But it was in the work of Reinhold Niebuhr (1892-1971) that the idea about Christian realism came to its fruition when he first published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and subsequently a number of books in which he expounded many profound thoughts on various themes of Christian realism. Undoubtedly Niebuhr is, and deservedly so, recognized as the major and leading theologian who had developed and succeeded in providing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substance to the idea of Christian Realism.
In short, Christian Realism refers to a Christian response to the realities of politics and ethics (morality) . Basing its arguments on biblical faith and insights on the sin and fall, it asserts that the Christian perspective on human nature and political phenomena must be realistic, rather than pessimistic or optimistic.
In this paper, I have briefly elaborated seven points which may be considered to be recurrent themes closely identified with Christian realism, and some critical views of Christian realism raised by some political scientists and liberation theologians. They are: emphasis on structure; criticism of both liberalism and Marxism from the Biblical standpoint; peace and war;
democracy; dual ethics in political phenomena; Justice and love; and sin.
Toward the end of the paper, a question as to whether Christian realism is still relevant in the 21st Century is raised. I am inclined to give apositive response, particularly because Christian realists are increasingly called upon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e world threatened by increasingly horrendous wars in various parts around the world.
목차
Ⅰ. 이 세상의 것은 아니지만 이 세상 안에 있다
Ⅱ.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주요 논점
Ⅲ. 기독교 현실주의에 대한 비판과 응답
Ⅳ. 21세기에도 기독교 현실주의는 적실한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가복음 결말의 ‘세 여자 이야기’와 여자 제자 집단 ― 마가복음 15:40-16:4과 사복음서 비교
- 융의 사위일체 신정론: “넷째는 어디에 있는가”
- 토마스 머튼의 관상과 행동 ― “행동 세계 속에서의 관상”을 중심으로
- “희망: 시작의 힘 ― 인내의 힘”
- 백부장의 πίστις : Q복음서의 가버나움 백부장에 관한 연구
- 나중에 온 사람들에게도 ― 마태복음 20:1-16
- 흰돌 강희남 목사의 민중 통일론
- 로날드 바이어스의 『성서적 관점에서 바라본 성례전』
- 요안네스 카시아누스 (Ioannes Cassianus, ca.360-ca.435) 의수도 문헌에 나타난 인간, 부 (Divitia) , 그리고 탐욕 (Avaritia) 이해
- 예수의 비유에 나타난 개성화의 동기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 관점에서
- 통일 과정에서 평화 기도회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 성 니콜라이 교회와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의 평화 기도회를 중심으로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요체와 평가
- 삼위일체 예배에서 실행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관계성 ― 삼위일체 페리코레시스와 음양 상징의 공동체적 관계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 예수 찬양 댄스 교육을 통한 기독교 문화 예술 활성화 효과
- 요셉 이야기(창 37:18-36) 다시 보기 ― 창세기 37:28의 번역을 중심으로
- 오직 믿음으로 (sola fide) ― 칭의론에 대한 논쟁과 성서적 해석; 루터에서 오늘까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