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년 동안 증상없이 잔존한 수정체 내 이물제거 후 발생한 안내염
이용수 3
- 영문명
- Endophthalmitis after Removal of an Intralenticular Foreign Body in Place without Symptoms for 20 Year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최 영(Young Choi) 엄영섭(Youngsub Eom):최수연(Soo Youn Choi) 이보영(Bo Young Lee) 김은지(Eun Jee Kim) 강수연(Su-Yeon Kang) 송종석(Jong Suk Song) 김효명(Hyo Myung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5, 480~48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20년 동안 수정체 내에 잔존했던 안내 이물에 의해 발생한 백내장수술 후 안내염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5세 남자 환자가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우안의 점진적인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세극등현미경검사상 우안 수정체 전낭의 혼탁, 수정체핵경화, 후낭밑백내장 소견을 보였다. 과거력상 20년 전 못이 우안에 튀어 수상한 기왕력이 있었으며 수상 당시 시행한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는 안내 이물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환자는 계획에 따라 백내장수술을 시행하기로 하였다. 수정체유화술중 수정체 내에 금속이물이 발견되어 금속이물을 안전하게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였다. 술 후 3일째에 전방축농 소견이 관찰 되어 항생제 유리체내주사를 시행하고 강화-항생제 안약을 점안하였다. 이후 전방내 염증 소견은 호전되었으며, 교정시력은 1.0으로 회복되었다. 결론: 외상 시 간과되어 안구 내에 잔존한 이물이 염증과 증상을 일으키지 않아 장기간 수정체 내에 잔존하였다가 이후 백내장을 진행시킨 경우에도 백내장수술 및 안내 이물제거 후 안내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We report a case of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in the cataract patient, associated with removal of an intralenticular foreign body that had remained in place without symptoms for 20 years.
Case summary: A 45-year-old male visited our outpatient clinic complaining of gradual visual loss in his right eye over the past 3 months. In slit-lamp examinations, an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nuclear sclerosis, and posterior subcapsular opacity were observed in the right eye. Twenty years before, a tiny metallic projectile had hit his right eye, but slit-lamp examination at the time of injury did not reveal any intraocular foreign body. We decided to undergo cataract surgery. During phacoemulsification, a metallic foreign body was found in the lens and safely removed; then an intraocular lens was implanted. As hypopyon was evident 3 days later, we injected intravitreal antibiotics and applied fortified antibiotic eye drops to the right eye. The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improved and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recovered to 1.0.
Conclusions: Surgeon should be aware of that endophthalmitis could develop after cataract surgery with removal of an intralenticular foreign body that had been in place for 20 years. But did not trigger inflammation or cause any symptoms as the cataract progressed.
J Korean Ophthalmol Soc 2019;60(5):480-485
목차
증례보고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녹농균, 아시네토박토 바우마니, 오크로박트럼 안트로피 복합감염에 의한 각막염
- 네 종류의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젊은 정상인의 황반부 망막두께 비교
- 인공눈물 점안 횟수에 따른 눈물 내 총 단백질과 리포칼린 농도의 변화
- 열공망막박리환자에서 초기 안압에 따른 임상적 특징
- 굴절부등근시환자에서의 우세안과 굴절이상의 관계
- 스마일수술과 펨토초라식수술 후 안구건조증 지표의 단기 관찰
- 옥스카르바제핀 복용 후 발생한 양안의 백내장
- 20년 동안 증상없이 잔존한 수정체 내 이물제거 후 발생한 안내염
-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검열반의 양상 분석
- 밤 가시에 의한 각막이물환자에서 각막절개를 통한 이물제거
- 녹내장 및 분지망막정맥폐쇄에서 두 가지 시야검사를 통한 망막신경절세포층 손상의 비교 연구
- 혈관육종환자에서 파조파닙 치료 이후 발생한 양안 열공망막박리
- 녹내장환자에서 백내장수술 후 안압하강에 영향을 미치는 전방각경 점수 및 술 전 인자
- 급성 원발폐쇄각녹내장으로 레이저홍채절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백내장수술 후 굴절력 예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