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검열반의 양상 분석
이용수 16
- 영문명
- Features of Pinguecula Analyzed by Anteroi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윤하원(Ha Won Yoon):권지원(Ji Won Kwo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5, 421~42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검열반의 임상양상과 검열반의 공막침범 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7년 2월부터 2018년 4월까지 검열반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자 50명(남자 17명, 여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열 반의 크기, 융기 정도, 색깔, 혈관화 정도를 조사하였고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두께와 공막침범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검열반의 수평직경은 평균 2.37 ± 1.12 mm로 검열반 두께 및 단면적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상관계수: 각 0.34, 0.42). 수직직경은 평균 2.21 ± 0.91 mm로서 검열반의 두께, 공막침범 정도, 단면적 모두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상관계 수: 각 0.22, 0.61, 0.33) 공막침범 두께와의 상관계수도 0.61로 높았다. 평균직경 또한 평균 2.29 ± 0.97 mm로서 검열반 두께, 단면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상관계수: 각 0.40, 0.54). 검열반 전체 두께는 심한 융기 그룹이 평균 두께 0.66 ± 0.35 mm로 0.57 ± 0.23 mm의 편평 그룹보다 유의하게 두꺼운 양상을 보였고, 혈관화가 심한 그룹이 0.70 ± 0.19 mm로 0.52 ± 0.13 mm의 경한 그룹보다 유의하게 두꺼웠다(p=0.01).
결론: 크기가 크고 혈관화 정도가 높은 검열반이 두께도 두껍고 공막침범도도 심함을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해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features and degree of scleral invasion using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ethods: The size, elevation, color, and degree of vascularization were examined in 50 patients (17 males and 33 females) who visited our clinic between February 2017 and April 2018. The thickness and scleral involvement were analyzed by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sults: The average horizontal diameter of the pinguecula was 2.37 ± 1.12 mm, which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thickness and dimension (correlation coefficients: 0.34 and 0.42, respectively). The vertical diameter was 2.21 ± 0.91 mm, which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ickness, scleral involvement, and dimension (correlation coefficients: 0.22, 0.61, and 0.33,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cleral invasion thickness was as high as 0.61. The average diameter was 2.29 ± 0.97 mm, which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ickness and dimension (correlation coefficients: 0.40 and 0.54, respectively). Overall thicknes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elevation group (average 0.66 ± 0.35 mm) than the flat group (0.57 ± 0.23 mm). Thicknes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severe vascularization group (0.70 ± 0.19 mm) than in the less severe vascularization group (0.50 ± 0.13 mm) (p = 0.01).
Conclusions: Anterior segment OCT findings revealed that the larger and more vascularized pinguecula were significantly thicker and had more scleral involve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9;60(5):421-427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녹농균, 아시네토박토 바우마니, 오크로박트럼 안트로피 복합감염에 의한 각막염
- 네 종류의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젊은 정상인의 황반부 망막두께 비교
- 인공눈물 점안 횟수에 따른 눈물 내 총 단백질과 리포칼린 농도의 변화
- 열공망막박리환자에서 초기 안압에 따른 임상적 특징
- 굴절부등근시환자에서의 우세안과 굴절이상의 관계
- 스마일수술과 펨토초라식수술 후 안구건조증 지표의 단기 관찰
- 옥스카르바제핀 복용 후 발생한 양안의 백내장
- 20년 동안 증상없이 잔존한 수정체 내 이물제거 후 발생한 안내염
-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검열반의 양상 분석
- 밤 가시에 의한 각막이물환자에서 각막절개를 통한 이물제거
- 녹내장 및 분지망막정맥폐쇄에서 두 가지 시야검사를 통한 망막신경절세포층 손상의 비교 연구
- 혈관육종환자에서 파조파닙 치료 이후 발생한 양안 열공망막박리
- 녹내장환자에서 백내장수술 후 안압하강에 영향을 미치는 전방각경 점수 및 술 전 인자
- 급성 원발폐쇄각녹내장으로 레이저홍채절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백내장수술 후 굴절력 예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