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or Mitigation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Disaster Resilience
이용수 33
- 영문명
-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or Mitigation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Disaster Resilienc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이재은(Jae Eun Lee) 김서용(Seoyong Kim) (Gajendra Sharma) (Muhammad Aza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5 No.3, 119~1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or mitigation through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disaster resilience. As a result, some major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erious and in-depth cause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o mitigate or minimize the likelihood of recurrence of the same type of disaster from past disasters; the cooperation between the disaster management institutions should be practically established; public officials should personally engage in responsible actions to prevent disasters and mitigate damag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coopera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sponsible for disaster management, public officials with disaster experience and public officials without disaster experience, and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a depth academic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disaster on individuals, households and society, etc.
목차
Ⅰ. INTRODUCTION
Ⅱ. SIGNIFICANCE AND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Ⅲ. DISASTER RESILIENCE AND MITIGATION STRATEGY Resilience
Ⅳ. SOME IMPLICATIONS FOR DISASTER MANAGEMEN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or Mitigation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Disaster Resilience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결정성,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재취업 취약계층 여군을 위한 취업역량 및 교육요구 분석
- 사라 러딕의 모성적 사유와 안전권에 기반한 중앙과 지방정부 안전취약계층 안전권 보장을 위한 제언
- 지역사회 정신질환자의 신체활동수준, 신체상만족, 건강관련 삶의 질
-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회귀분석 기반 자연재해 피해액 추정 모형
- 부패인식의 요인 - 국가위기관리를 위한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