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lf-leadership, Self-determin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ac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전미경(Mi-Kyung Jeon) 오재우(Jae-Woo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5 No.3, 71~8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자기결정성, 대인관계 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대학 생이 인식한 셀프리더십은 평균 3.45±.50, 자기결정성은 평균 3.49±.55, 대인관계능력 평균 2.86±.32, 대학생활 적응 평균평점 3.15±.38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과 셀프리더십, 자기결정, 대인관계능력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학생활 만족도는 대학생활 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설명력은 21.7%였다.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자율성을 보장 하고 자기결정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대학생활 적응에 대학생활 만족도가 영향을 주는 요인이므로 대학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 leadership, self-determination, interpersonal skill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191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self-leadership was 3.45 ± .50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self-determinacy was 3.49 ± .55, interpersonal skills average was 2.86 ± 32, 3.15 ± .38,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elf-leadership, self-determin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Th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howe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1.7%. In order to help adapt to college lif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because it guarantees autonomy of self-determination of college students, increases the self-determination, and affects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or Mitigation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Disaster Resilience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결정성,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재취업 취약계층 여군을 위한 취업역량 및 교육요구 분석
- 사라 러딕의 모성적 사유와 안전권에 기반한 중앙과 지방정부 안전취약계층 안전권 보장을 위한 제언
- 지역사회 정신질환자의 신체활동수준, 신체상만족, 건강관련 삶의 질
-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회귀분석 기반 자연재해 피해액 추정 모형
- 부패인식의 요인 - 국가위기관리를 위한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