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Allergic Conjunctivitis due to Brimonidine and Systemic Allergic Disease in Glaucoma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한종욱(Jongwook Han) 최웅락(Wungrak Choi) 이원석(Won Seok Lee) 배형원(Hyoung Won Bae) 김찬윤(Chan Yun Kim) 성공제(Gong Je Seo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3, 233~23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녹내장환자에서 안압을 하강시키기 위한 약물로 브리모니딘(Brimonidine tartrate 0.1%)은 흔하게 사용되는 안약으로 종종 알레르기결막염을 부작용으로 동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브리모니딘 사용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알레르기결막염의 정도와 전신 알레르기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임상 증례 연구로서 연구 대상자는 원발개방각녹내장 또는 정상안압녹내장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브리모니딘사용으로 알레르기결막염이 발생한 환자 63명(63안)으로 구성되었다. 알레르기결막염이 새롭게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천식, 알레르기비염, 두드러기 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세극등현미경검사를 통해 알레르기결막염의 정도를 외래에서 측정하여 관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천식, 알레르기비염, 두드러기환자는 각각 4명, 18명, 6명이었고, acute conjunctivitis disease score는 각각 11-22점, 1-211점, 12-100점으로 다양하였다. 천식과 알레르기결막염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095, p=0.461). 또한 알레르기비염(r=0.117, p=0.361)과 두드러기(r=-0.110, p=0.389) 역시 알레르기결막염의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녹내장환자에게서 전신 알레르기 질환이 브리모니딘 점안 시 발생할 수 있는 알레르기결막염의 정도와 관련이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전신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환자군에게서 브리모니딘 점안이 필요할 때, 보다 폭넓게 안약을 사용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9;60(3):233-238>
영문 초록
Purpose: Several different topical eye drop medications are used to lower the intraocular pressure of glaucoma patients. Among hem, 0.1% brimonidine tartrate is commonly used and accompanies allergic conjunctivitis as a side effect. This study deter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allergic conjunctivitis arising from brimonidine eye drop use and systemic allergic disease.
Methods: A case report study of 63 selected patients diagnosed with open-angle glaucoma or normal-tension glaucoma, and developing allergic conjunctivitis due to brimonidine usage was conducted. The study surveyed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allergic conjunctivitis in terms of allergic rhinitis, asthma, and urticaria symptoms, and a slit lamp examinat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allergic conjunctivitis in the clinic, using a novel scoring system to establish correlations of interest.
Result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sthma and the severity of allergic conjunctivitis (r = -0.095, p = 0.461). Allergic rhiniti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allergic conjunctivitis (r = 0.117, p = 0.361), and urticaria display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ergic conjunctivitis (r = -0.110, p = 0.389). We found no correlation in glaucoma patients between brimonidine eye drop use and the severity of allergic conjunctivitis.
Conclusions: Systemic allergic disease was not related to the severity of allergic conjunctivitis arising from the use of brimonidine eye drops, indicating that the use of these eye drops can effectively lower intra-ocular pressure even if the patient suffers from systemic allergic disease.
J Korean Ophthalmol Soc 2019;60(3):233-238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막터널과 고랑을 이용한 인공수정체공막고정술의 단기 임상결과
-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한 안구용적측정치와 안축장과의 상관관계
- 클로자핀 복용으로 유발된 각막 및 수정체 색소침착 1예
- 60세 이상 고령환자군에서 핀치 피부절제법을 병용한 결막접근 아래눈꺼풀성형술의 효과
- 근시환자에서 당일 스마일수술과 계획 스마일수술의 결과 비교
- 45 프리즘디옵터 이상의 편위각을 지닌 외사시에서 두 근육과 세 근육 수술법의 비교
- 전체층황반원공을 동반한 망막색소변성환자의 수술적 치료: 증례보고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유병률 변화와 라니비주맙 주사제 사용에 따른 향후 의료비용 분석
- 전신 알레르기 질환과 브리모니딘 점안으로 인한 알레르기결막염의 관계
- 양하측 수평시야결손으로 나타난 양측 후두엽 뇌경색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비전형적 임상양상의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아 안내염 2예
- 안과에서 시행한 진료정보교류에 대한 효과 분석
- 의안 장기착용자에서의 의안 관리
- 포도막수막증후군 2예
- 0.05% 사이클로스포린 마이크로에멀젼과 나노에멀젼에서 치료 후 건성안 지표 및 점안감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Innovation in Legal Practice in the Digital Age - Taking Model-Based Legal Reasoning as an Example
- Interpretation, Integrity, and the Right Answer: An Analysis of the Core Propositions in Dworkin's Legal Theory
- Research on Legal Governance of Fals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