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시환자에서 당일 스마일수술과 계획 스마일수술의 결과 비교
이용수 27
- 영문명
- Clinical Outcomes of One Day Small-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Compared with Scheduled Methods for Myopic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욱겸(Wook Kyum Kim) 류익희(Ik Hee Ryu) 김정섭(Jung Sub Kim) 전가희(Ga Hee Jeon) 이인식(In Sik Lee) 김희선(Hee Sun Kim) 김진국(Jin Kuk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3, 223~23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one day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SMILE), which was performed on the same day as preoperative examinations in myopic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63 patients (163 eyes) who underwent SMILE with Visumax from January to June in 2017.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The one day SMILE group underwent surgery on the same day as the preoperative examinations including dilated fundus examinations. The scheduled group underwent the surgery on a different day. Only the right eye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The one day SMILE group included 83 patients and the scheduled SMILE group included 80 patients. At postoperative 1 month, the myopic errors were -0.07 ± 0.43 diopters (D) for the one day SMILE group and -0.09 ± 0.37 D for the scheduled SMILE group (p = 0.81); the astigmatic refractions were -0.48 ± 0.29 D and -0.46 ± 0.28 D, respectively (p = 0.57), the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ies were -0.02 ± 0.11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and -0.02 ± 0.11 logMAR, respectively (p = 0.79). At postoperative 6 months, the myopic errors were -0.06 ± 0.42 D for the one day SMILE group and -0.08 ± 0.34 D for the scheduled SMILE group (p = 0.81), and the astigmatic refractions were -0.48 ± 0.25 D and -0.48 ± 0.30 D, respectively (p = 0.99); the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ies were -0.04 ± 0.09 logMAR and -0.05 ± 0.07 logMAR, respectively(p = 0.45).
Conclusions: The postoperative results of the one day SMILE patients, whose surgery was performed on the same day as the preoperative dilating fundus examin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patients treated with conventional scheduled SMILE.
J Korean Ophthalmol Soc 2019;60(3):223-232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도막수막증후군 2예
- 근시환자에서 당일 스마일수술과 계획 스마일수술의 결과 비교
- 공막터널과 고랑을 이용한 인공수정체공막고정술의 단기 임상결과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유병률 변화와 라니비주맙 주사제 사용에 따른 향후 의료비용 분석
- 60세 이상 고령환자군에서 핀치 피부절제법을 병용한 결막접근 아래눈꺼풀성형술의 효과
- 양하측 수평시야결손으로 나타난 양측 후두엽 뇌경색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비전형적 임상양상의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아 안내염 2예
- 안과에서 시행한 진료정보교류에 대한 효과 분석
- 0.05% 사이클로스포린 마이크로에멀젼과 나노에멀젼에서 치료 후 건성안 지표 및 점안감 비교
- 전신 알레르기 질환과 브리모니딘 점안으로 인한 알레르기결막염의 관계
- 의안 장기착용자에서의 의안 관리
- 전체층황반원공을 동반한 망막색소변성환자의 수술적 치료: 증례보고
-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한 안구용적측정치와 안축장과의 상관관계
- 45 프리즘디옵터 이상의 편위각을 지닌 외사시에서 두 근육과 세 근육 수술법의 비교
- 클로자핀 복용으로 유발된 각막 및 수정체 색소침착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