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Human Rights Perspective of the Experience of School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장애학회
- 저자명
- 장은실(Jang, Eun Sil) 권희주(Gwon, Hui Ju) 신창식(Shin, Chang Sik)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학회지』제4권 제1호, 5~4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적장애 당사자의 학교생활 경험을 인권 차원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생활을 모두 마친 20대 지적장애 당사자 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학교생활이 어떠했는지를 심층 면담을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참고 견딘 학교생활’, ‘학교생활을 통해 알게 된 나, 장애인’이라는 2개의 대주제와 5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이 주제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첫째,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인권교육 방안의 수립과 실천이 요구되고, 둘째, 인권존중의 학교 분위기 조성과 장애학생 개인의 능력에 맞는 교육이 제공되는 교육권 보장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셋째, 장애인의 인권보장을 위해 장애에 대한 패러다임이 사회적 모델로 전환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experience of school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fiv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ir 20s who completed
their entire school life were studi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find out what school life they experienced.
As a result of the study, we have included two entities : ‘a patient and enduring school life’, ‘I,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ecame aware through school life’. And research has resulted in five subtop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researchers suggest that :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practice effective and active human rights education that can be learned naturally in school curriculum. Second, a measure should be taken to ensure the right to education, which is provided to foster a school atmosphere in respect of human rights and to provide education suited to the abiliti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ird, to ensure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the paradigm for disabilities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social model.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연구 방법
4.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