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spute of Commercial Building Premiums in Gentrification Area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김민아(Kim, Min A) 강정규(Kang, Jeong Gyu)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7권 제1호 (통권 제43호), 265~2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Gentrification of Korea, unlike it occurs mainly around residents in the foreign metropolitan area, since the early 2000s, has been a unique aspect that occurs mainly when cultural artist and small business owners in certain areas are kicked out of their space.
Gentrification has forced existing tenants to be pushed out of the way because of the increase in rents, and tenants and merchants living in the area became aware of the serious problem of survival.
The disputes between landlords and tenants in the Gentrification area are deepening and are emerging as various social problems, especially, among which Commercial Building Premium is causing serious disputes.
This study, as a premise for solving the problem,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ndlord and the tenant on the Commercial Building Premium in the Gentrification area, and suggest a reasonable policy direction for mutual benefit by drawing out the causes and problems of the dispute on the Commercial Building Premium.
The cause of the dispute in the Gentrification area was confirmed to be caused by the relatively unfavorable status of the tenant, such as over-rental increase, unilateral contract termination, and obstruction of the premium receipt. A proper compensation and support system shoud be needed to legally guarantee the relative disadvantage of the tenant. In this regard, in addition to legitimate examination when renewing the lease or refusing to transfer the lease, there should be a plan to recover the money and premium when the lease is unfairly renewed or rejected to transfer.
A change in social awareness of Gentrification shall be needed, and differentiated customized policies in the Gentrification area are required. When residents accurately recognize the problem and unite at the local community stance,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government may minimize the problems caused by Gentrification when they support it institutionally and administratively.
Based on this, I hope to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the market for commercial lease transactions in the Gentrification area by raising reasonable measures for the coexistence of the landlord and the tenant and reducing the possibility of disputes over the Commercial Building Premium.
목차
Ⅰ. 서 론
Ⅱ. 젠트리피케이션 및 권리금에 관한 이론적 고찰
Ⅲ.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의 상가 권리금 분쟁사례 및 판례분석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울시 저소득 가구의 주거이동 요인에 관한 분석
- 레지던스 호텔의 판매가능 객실당 수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의 상가권리금 분쟁에 관한 연구
- 부동산 담보대출 이용만족도 및 재이용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 보상액의 적절성 판단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아파트 가격 및 거래량에 따른 주거선호지역 특성에 관한 연구
-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민간임대주택 활성화 방안 연구
- 범죄예방을 위한 안전한 현관출입문에 관한 연구
- 주택임대차 분쟁조정 성립결정 요인 분석
- 고압송전선 주변 지가의 스티그마 효과
- 경남혁신도시 건설이 진주시의 인구 및 산업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저축은행 재무구조가 경매매각가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택가격 변동시기 월세가구의 소비지출 차이에 관한 연구
- 통일대비 남북 접경지역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창원시의 아파트 매매가격형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단독주택 재건축지역의 주택가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개발제한구역내 국민임대주택의 입지특성과 주거만족도 연구
- 전통시장의 이용만족도 및 계속이용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 구미시의 청년층 정주 여건 향상을 위한 연구
- AHP에 의한 가치형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ffects of Regional Economic Characteristics on Apartment Price in Old Town of Big Local Cit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TRNSYS 시뮬레이션을 통한 공공기관 건물의 기류속도 기반 쾌적성 확보 가능성 분석
- 공사중단 방치건축물의 실태와 공적개입 제도 개선방향 연구
- 비시가화지역의 성장관리계획 운영실태 분석 연구 - 화성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