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구 고령화는 소득불평등의 원인인가?
이용수 26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 저자명
- 이우진 조원기 최준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60쪽, 전체 6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0
10,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 우리는 인구고령화가 소득불평등을 심화시킨 원인인가를 구명한다. 인구고령화는 전체인구에서 65세 이상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이해한다. 과거의 연령대별 인구구성을 이용하여 고령화가 진행되지 않았더라면 (즉 인구구성이 과거와 동일하 였다면) 얻게 되었을 가상적인 소득분포(counterfactual distribution) 를 준모수적으로 추정한 뒤, 이것과 현실의 소득분포를 비교하여 인구고령화의 효과를 추정한다. 가계동향조사 연간자료와 과거시점
(1985년, 1995년)의 가구주 구성을 이용하여 1990년부터 2016년까지
가구주의 소득에 대한 가상적 소득분포를 계산하였다. 우리의 분석결 과에 의하면 고령화는 소득불평등에 기여하지 않거나 혹은 소득불평 등을 오히려 소폭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러 방식으로 추정의 강건성을 검정한 결과 결론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데이터
Ⅳ. 축약형 회귀
Ⅴ. 결과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구 고령화는 소득불평등의 원인인가?
- 수직적 및 수평적 재정관계 내에서 시·군 조정교부금의 역할 분석
- 文在寅 政府의 所得主導 成長政策 왜 問題인가?
- 소득이동성의 측정
- 중소기업 R&D 조세지원제도 현황 및 이슈
- Does School Accountability ReduceInequality in Education? Lessons from South Korea
- 불용액의 정권 연차별 변화와 국회 예산심의의 효율성
- 일자리재정과 정부의 역할 -일자리재정지출의 우선순위를 중심으로-
- 신용카드 소득공제 제도가 가구의 신용카드사용에 미치는 효과 분석
- THE PRICE OF POLITICAL CONNECTIONS
- 복지재정과 교육재정 적정성 전망과 지방재정 운용에의 시사점
- 최저임금과 자동화 최저임금이 자동화를 통해 고용에 미치는 영향
- Small-Scale Rural Water Supply and Development: Historical Experience of Korea
- The Health Effects of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 Difference-in-Differences Approach, Using the Panel Data from the Japan Study for Aging and Retirement
- 지역 SOC 재정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2018 한국재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 근로소득 증대세제가 기업의 고용 및 임금에 미치는 인과적 효과: 준자연적 실험으로부터의 증거
- 상속이 자녀출산에 미치는 영향
- Is there regional inequality in medical accessibility? Application of driving time data to measure trauma center accessibility in South Korea
- 새로운 형태의 출산 및 보육정책과 기대효과 분석
- 재정 기능의 정상화를 위한 과제
- 한국 장수기업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 재정패널조사와 자산보유선택 - 위험부담행위에 미치는 영향분석
- 중고령은퇴가구의 가구유형 및 주거현황별 경제적 특성 분석
- 아동수당제도 도입과 증세의 거시경제적 효과 분석
- Agglomeration, Tax Autonomy, and Regional Convergence
- Government Size, Trade Openness, and Intersectoral Income Fluctuation: An International Panel Analysis
- 미 세먼지 건강위험인지의 내생성이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 야외여가활동 감소를 사례로
- 4차산업혁명 시대, 경제패러다임의 전환과 새로운 경제정책 방향 * - 임금노동의 소멸, 여가혁명, 기본소득에 대한 담론 -
- What drives health expenditures associated with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and other OECD countries?
- 1인 가구의 증가가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
- 경기중립적 세대간회계를 이용한 정부재정 유지가능성 및 세대간 불균형 평가
- 가업승계세제의 개선방안 :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포용적 성장과 재정정책 방향의 모색
- 부담금 제도의 경제학적 분석
- An Economic Analysis of Money Transfers -Social Security and Public Infrastructure in japan-
- Incomplete Careers and Public Pension: A General Equilibrium Approach
- 연구개발특구 조세감면이 첨단기술기업의 투자 및 고용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산업·직업별 임금불평등 요인 기여도 분석
- 기초연금제도의 변화가 소득분배 및 빈곤에 미치는 효과: 미시시뮬레이션 분석
- 장기노인요양보험의 노인의료비 영향과 정책적 의의
- 환경교육의 파급효과
- Childcare, Private Education, and Married Women’s Employment in South Korea
- The influence of income inequality aversion on redistribution in a democratic context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