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apanese War Paintings during the Sino-Japanese war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저자명
- 김용철(KIM, Yong-cheol)
- 간행물 정보
- 『일본역사연구』일본역사연구 제32집, 187~21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war paintings painted by Japanese painters during the Sino-Japanese War, should be reconsider because there are so many aspects which were excluded in the previous argument. They can be classified to several types. For example, scene of combat in the Chines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oldiers with the appearance from behind can be read in positive view. These aspects can t be read according to the standards came from the paintings during the Pacific war.
In the sight of occupied region of China, there are various gazes in the paintings.
Sino-japanese friendship is reflected in the sight where young Chinese woman and Japanese soldier appear, and some cases need gender view. The children and the aged painted as object of protect by Japaense soldiers, are to be considered as to investigate the logic of sino-japanese friendship and the Great East Asia ideology.
목차
I. 머리말
II. 기존의 논의에 대한 검토
III. 전쟁화 제작배경
IV. 중일전쟁기 일본 전쟁화의 몇 가지 유형
1. 그 시작과 일본군의 형상화
2. 점령지 중국과 중국인의 형상화
3. 역사화와 종교화
V.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