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와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이용수  880

영문명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s - The Mediating Role of Work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l Self-Efficacy -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설지수(Seol, Ji Su) 정원호(Jeung, Won Ho)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25권 제4호, 121~14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열의를 통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하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성원의 특성적인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임파워링 리더십, 직무열의, 혁신행동,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육군 중대급 이하 간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리더-부하 131쌍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은 부하의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부하의 혁신행동의 관계는 부하의 직무열의에 의해 매개되었다. 또한 부하의 직무열의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은 부하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의해 정(+)적으로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열의를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부하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의해서 조절됨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외적타당성을 확대하였 으며,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군 조직에서의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효과성 검증을 통해 일반사회에서 효과성을 가지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군 조직에도 적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하의 혁신행동을 장려하기 위해 군 조직 관리자들이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열의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임파 워링 리더십이 모든 부하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특성에 따라 그 효과가 강화되 거나, 혹은 중화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연구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l self-efficacy of followers. More specifically it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l self-efficacy of follow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on the indirect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job engagement. Sampling from 131 leader-follower dyad in Korean Arm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eaders’ empowering behavi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s of followers as well as job engagement of followers. Followers’ job engagement is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s and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s of followers. The relationships between followers’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s were moderated by general self-efficacy of followers such that the effects of job engagement on innovative behaviors were stronger for those with higher general self-efficacy than those with lower general self-efficacy. Finally, the indirect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s through job engagement were moderated by followers’ general self-efficacy such that the indirect effects were stronger for those with higher general self-efficacy than those with lower general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 the extant literature on empowering leadership,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s because it explains the potential influential mechanism of empowering leadership. This study also have some practical implication that organizations should train and educate their leaders to conduct empowering leadership in order to foster innova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1. 임파워링 리더십
2. 혁신행동
3.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
4.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5.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Ⅲ. 연구 방법
1. 표본 및 자료 수집
2. 변수의 측정
3.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타당성 검증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 가설 검증
Ⅴ. 토의 및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설지수(Seol, Ji Su),정원호(Jeung, Won Ho). (2018).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와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인적자원관리연구, 25 (4), 121-146

MLA

설지수(Seol, Ji Su),정원호(Jeung, Won Ho).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와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인적자원관리연구, 25.4(2018): 121-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