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맥락막상강출혈 1예
이용수 27
- 영문명
- A Case of Suprachoroidal Hemorrhage after Pars Plana Vitrectomy f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민한(Min Han Kim) 오종현(Jong Hyun Oh)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1, 1082~1086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유리체절제술을 시행받은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수술 당일 발생한 맥락막상강출혈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0세 여자 환자가 1주일 전부터 시작된 좌안 비문증과 광시증,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좌안의 최대교정시력은 0.1 이었고, 안저검사에서는 황반부를 침범하고 상이측 열공을 동반한 망막박리가 관찰되었다. 전신마취하에 좌안 백내장수술과 23 G 무봉합 유리체절제술, 14% C3F8 가스충전술을 시행하였다. 마취 회복 1시간 뒤 환자는 갑자기 극심한 좌안의 통증을 호소하였고, 압박안대 제거 후에 측정한 안압은 58 mmHg로 높았다. 통증은 10분 이내에 저절로 호전되었으며 다시 측정한 안압은 8 mmHg였다. 안저검사에서 맥락막상강출혈을 시사하는 적갈색의 융기된 병변이 관찰되었다. 압박안대를 한 채 엎드린 자세를 취하도록 하였고, 수술 다음 날에는 공막절개부위를 통한 출혈이 관찰되었다. 이후 출혈성 맥락막박리는 악화 소견 없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술 후 3주째에는 유리체강 내 100% C3F8 가스주입술을 추가 시행하였다. 술 후 3개월째 좌안 교정시력은 0.8로 호전되었고 망막은 유착된 상태로 안정적이었다.
결론: 유리체절제술 후 심한 안구통을 호소하는 경우에 맥락막상강출혈을 의심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 60-year-old female with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presenting with suprachoroidal hemorrhage after vitrectomy.
Case summary: A 60-year-old woman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floaters, flashing, and blurred visio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0.1 in her left eye, and fundus examination of her left eye revealed macula-involved retinal detachment with a retinal break at the superotemporal quadrant. She underwent cataract surgery, 23-gauge transconjunctival sutureless vitrectomy, and 14% C3F8 gas tamponade under general anesthesia. One hour after anesthesia recovery, she suddenly complained of severe pain in her left eye. The intraocular pressure measured after removal of the pressure patch from her left eye was as high as 58 mmHg. Her ocular pain improved spontaneously within 10 minutes, and the intraocular pressure decreased to 8 mmHg. Fundus examination of her left eye revealed a reddish-brown raised lesion, suggesting suprachoroidal hemorrhage. She was placed in a prone position with a pressure patch over her left eye. Bleeding through the sclerotomy site was observed 1 day after surgery. Subsequently, hemorrhagic choroidal detachment of her left eye continued to decrease without deterioration. Three weeks after surgery, the patient received an intravitreal injection of 100% C3F8 gas into her left eye. At 3 months after surgery, best-corrected visual acuity had improved to 0.8 in her left eye, and the retina was stable.
Conclusions: Suprachoroidal hemorrhage may be suspected in a patient complaining of severe ocular pain after vitrectomy.
목차
Abstract
증례보고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황색육아종과 동반된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 1예
-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맥락막상강출혈 1예
-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치료 방법과 재정 영향 분석
- 클로르페나피르 음독 후 발생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
- 중등도 이하 소아 근시에서 안경과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이 안축장 성장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눈물흘림 환자에서 눈물길미세내시경의 사용 여부에 따른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 비교
- 발프로익산이 인체 테논낭 섬유아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사구수조지방종에 의한 도르래신경마비 1예
- 기화된 아민에 의한 각막부종 2예
- 양안 급성 폐쇄각녹내장 환자에서 발생한 양안 지연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 1예
- 수정체유화장치의 초음파 출력속도 및 자동막힘감지 기능 향상의 술 후 임상결과 비교
- 거짓비늘증후군에서 개방각녹내장 병합 유무에 따른 전안부 소견과 생체 계측치에 대한 비교
- 소아청소년 개방안구손상 환자에서의 시력예후와 안외상 점수와의 연관성
-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시행 후 시력 반응의 의의
-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안구 방수 내 비타민 D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