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치료 방법과 재정 영향 분석
이용수 43
- 영문명
- Final Impact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Treatment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양장미(Jangmi Yang) 신상진(Sang Jin Shin) 서재경(Jae Kyung Suh) 조송희(Songhee Cho) 최하진(Hajin Tchoe) 강민주(Min Joo Kang) 지동현(Donghyun J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1, 1039~104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 대해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가능한 치료 방법에 따라 건강보험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여러 치료 방법에 따른 건강보험 재정의 변화를 향후 5년(2018-2022년) 동안 추정하였다. 새로운 급여기준 이외 바이오시밀러 등장, 허가초과 비급여약제 사용 등을 고려한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재정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 및 의료기관 자료를 기준으로 각 시나리오별로 향후 5년 동안 예상 진료환자 수, 치료 횟수를 추정하였으며, 재정부담을 추계하였다.
결과: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현행의 사용형태로 기존 급여기준(평생 14회)이 유지되는 경우(시나리오 1) 2018년 기준 향후 5년간 보험소요재정은 약 4,403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2017년 12월에 변경된 급여기준하에서 5년간 보험소요재정은 약 5,601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2020년 이후 바이오시밀러 급여(시나리오 3), 현재 허가초과 비급여약제인 베바시주맙(시나리오 4)을 급여전환하는 경우에 각각 5,210억 원, 4,197억 원으로 예상되었다.
결론: 본 평생 14회라는 급여기준 삭제로 인해 건강보험 재정이 크게 증가할 것이 예상되었으나 실제 0.1 이하 그리고 반흔화/위축성병변일 경우 급여 중단 등의 새로운 기준으로 중간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령화로 인한 연령관련황반변성 유병환자의 증가를 고려할 때 바이오시밀러 및 베바시주맙 도입 등의 정책적 대안도 고려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treatment on the healthcare-related finances of patients with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Methods: Changes in health care financing due to newly introduced benefit standards were predicted over the coming 5-year period (2018-2022). We also analyzed the financial impact of scenarios in which agents similar to anti-VEGF, such as the over-licensed drug bevacizumab, were introduced. For this purpose, the future number of patients receiving anti-VEGF treatments was estimated for various scenarios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claims data followed by an estimate of the financial burden.
Results: In the case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he current standard of care (14 times in a lifetime) was maintained in scenario 1. In 2018, the insurance budget for the coming 5-year period was estimated at approximately 440.3 billion won. The insurance cost for that period was estimated at approximately 560.1 billion won under the revised standard of December 2017 (scenario 2). For scenarios wherein, after 2020, similar treatments (scenario 3) and bevacizumab (scenario 4) were introduced, the estimated health insurance costs were 521 billion won and 419.7 billion won, respectively.
Conclusions: Health insurance costs are projected to increase substantially due to the elimination of the 14 time pay standard; however, the actual budget will only moderately increase, due to new limitations of visual acuity ≤ 0.1 or in case of scarring/ atrophic lesions. Clinically similar agents and bevacizumab could be considered as alternatives to anti-VEGF treatment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황색육아종과 동반된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 1예
-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맥락막상강출혈 1예
-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치료 방법과 재정 영향 분석
- 클로르페나피르 음독 후 발생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
- 중등도 이하 소아 근시에서 안경과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이 안축장 성장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눈물흘림 환자에서 눈물길미세내시경의 사용 여부에 따른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 비교
- 발프로익산이 인체 테논낭 섬유아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사구수조지방종에 의한 도르래신경마비 1예
- 기화된 아민에 의한 각막부종 2예
- 양안 급성 폐쇄각녹내장 환자에서 발생한 양안 지연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 1예
- 수정체유화장치의 초음파 출력속도 및 자동막힘감지 기능 향상의 술 후 임상결과 비교
- 거짓비늘증후군에서 개방각녹내장 병합 유무에 따른 전안부 소견과 생체 계측치에 대한 비교
- 소아청소년 개방안구손상 환자에서의 시력예후와 안외상 점수와의 연관성
-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시행 후 시력 반응의 의의
-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안구 방수 내 비타민 D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