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commerce를 이용한 저가 수입물품에 대한 제세금의 효과적 징수 모델
이용수 23
- 영문명
- The Effective Collection Models of VAT/GST on E-commerce Imports of Low Value Goods
- 발행기관
- 한국무역연구원
- 저자명
- 송선욱(Seon-Uk Song) 최석범(Seok-Beom Choi)
- 간행물 정보
- 『무역연구』제14권 제5호, 221~23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volume of cross border e-commerce is growing exponentially. Many research institutes estimate that e-commerce’s share of total goods trade grew from 3% in 2005 to 12.1% in 2012. Moreover, cross border e-commerce will account for 20% of total e-commerce in 2022.
Especially, it volume of imports of low value goods through B2C is growing. These goods are not collected VAT/GST. Many countries operate low value import VAT/GST relief regimes because the costs of collecting the VAT/GST on imported low value goods were likely to outweigh the VAT/GST actually collected. But under these circumstances, VAT/GST relief regimes lead to growing revenue losses and growing risks of unfair competitive pressures on
domestic retailers. Because of easy acquisition of necessary information, simple collection process of VAT/GST, and fully equipped IT system, the Vendor Collection model and the Intermediary Collection model are able to overcome these negative challenges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llection of VAT/GST on imported low value goods. Eventually, these collection models could allow countries to reduce or remove the VAT/GST exemption
thresholds for the imported low value goods.
목차
Ⅰ. 서론
Ⅱ. 국경간 e-commerce 제품의 제세금 징수에 대한 도전
Ⅲ. 국경간 e-commerce 핵심 관계당사자 및 세금징수 모델
Ⅳ. E-commerce 저가 수입물품에 대한 제세금의 효과적 징수 모델
Ⅴ.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효율적 프론티어 수준에 따른 감정평가법인의 경쟁력 비교 분석
-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정부정책지원의 효과 분석
- 통화정책 충격이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무역과 해외직접투자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Big Data and Doing Research in the Management Discipline
- 제품 리콜의 심각성과 통제성이 고객 태도를 매개로 하여 보복행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소비자가 인지하는 국가이미지와 기대가 고객만족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의 비용구조가 현금보유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간이과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한-중 무역의 요소가격 균등화 및 요소집약도 반전에 관한 실증분석
- E-commerce를 이용한 저가 수입물품에 대한 제세금의 효과적 징수 모델
- 환율과 금융변수 간 수익률 및 변동성 연관관계
- 개인주의 지수로 분석한 중국의 지역간 문화차이
- 한국 인삼의 대중화권 수출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보세운송에서의 보험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 우리나라의 전자통관 활용에 관한 소고
- 중국의 13.5규획과 ‘중국제2025’에 따른 한국기업의 대응방안
- 전통시장 사회적 자본과 포지셔닝 요인: 한중 비교
- SNS 이용자 잠복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 중국 공유차량 디디추싱에 대한 북경 소비자의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 기업의 주요 재무지표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연구
- CEO 보상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DISC 행동유형과 사주명리학의 음양오행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성과의 차이분석
- 선박평형수의 해양오염 관리와 수출에 관한 연구
- 선사와 화주 간 협력증진을 위한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역할
- 물류기업의 환경, 전략 및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 화웨이(华为)사의 공급사슬관리(SCM) 현황과 글로벌화 전략
- A Comparative Analysis of Biodiversity Legislation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ustralia and Mongolia
- Legal Base of the Authority of Agents under th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
- Does Trade Openness Benefit FDI Inflows into India?: Time-series Analysis on Five Major Indian FDI Sectors
- Revisiting the Effects of Free Trade Agreement (FTA) on PPP Using the ESTAR Model
- The Effect of Strategic Orientation on the Speed of Internationaliz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South Korea
- Diversification of Korean Energy Supply Sources and Transition to a Low-carbon Society: Energy Security in Terms of Availability and Acceptability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Firms Undertaking O2O Commer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n Korea, China and Japan
- Impact of ESG Factors on Firm Value in Korea
- Political Stability and FDI in Nepal
- The Effects of Export Market Orientation on Sustainability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컨테이너 터미널의 위험물 취급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
- 글로벌 공급체인 관점에서 본 K-드라마 유통 구조 분석 - 오징어 게임 사례를 중심으로
- 공급망 역량이 공급망 복원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 유연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