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sefulness analysis of lower extremity angiography in using the high pitch(flash) mode of dual source CT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강헌효(Heon Hyo Gang) 손성실(Seong Sil Son) 김준혁(Junh Yeok Kim) 박찬혁(Chan Hyeok Park) 이예나(Ye Na Lee) 김경환(Kyeong Whan Kim) 신명호(Myeong Ho Sin) 김민재(Min Jae Kim) 강동원(Dong Won Gang)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4권 제2호, 49~5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Dual source CT 장비의 high pitch mode를 이용하여 넓은 영역의 검사를 요하는 하지동맥검사에 적용 가능여부와 스캔시간의 감소에 따른 환자의 움직임의 최소화와 피폭선량 감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0월 1일부터 2012년 2월 29일까지 본원에 방문하여 기존의 하지동맥검사방법으로 검사한 후 추적검사 시 high pitch mode로 검사한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MDCT 128 row dual source; Somatom Definition Flash(Siemens medical system: Germany) 장비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검사방법은 기존의 검사방법에 high pitch mode 적용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AAPM 팬텀을 이용하여 기존의 검사법과 high pitch mode로 각각 스캔 후 Noise, Uniormity, Sparial resolution의 팬텀영상의 화질을 비교하였다.
또한 기존의 영상방법으로 얻은 영상과 high pitch mode로 얻은 영상에서 Aorta, both femoral artery, both distal artery에 각각 ROI를 그려 SD값을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2.0 for window의 독립표본 T-test 검정방법을 사용하였다.
환자의 선량비교를 위해 CT 장비에서 제공하는 DLP(dose length product)와 유효선량(effective dose)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유효선량은 DLP값에 검사부위별로 국제적으로 정해져 있는 부위별 환산지수 conversion factor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결과
AAPM 팬텀영상에서 산출된 Noise, Uniormity, Spatial resolution에 대해서는 기존 검사법과 high pitch mode를 적용한 검사는 크게 차이가 없으며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한 영상에서도 SD값을 비교한 T 검정결과 유의수준 0.05(신뢰구간 95%)에서 유의확률이 각각 Aorta(low: 0.096, high: 0.099), Rt.FA(low: 0.265, high: 0.265), Lt.FA(low: 0.195, high: 0.196) Rt.Dis(low: 0.575, high: 0.575), Lt.Dis(low: 0.286, high: 0.287)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선량면에서 기존의 검사방법에 비해 high pitch mode 검사방법은 27.8%의 선량감소 효과가 있었다.
결론
Dual source MDCT의 high pitch mode 하지동맥 검사방법은 기존의 하자동맥검사에 적용가능하며 넓은 영역의 검사를 요하는 하지동액검사에 있어 빠른 검사시간으로 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며 피폭선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검사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I. Purpose
It is to find out movement minimization caused by the fast scan time, effectiveness of dose reduction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n lower extremity angiography examination which needs long range scans in using high pitch mode of Dual source CT.
II. Meterial and Methods
It is studied with 50 patients who visited Pusan National Uni. Yangsan Hospital(PNUYH) for lower extremity angiography examination from 2011, 1 Oct to 2012, 30 Jan. MDCT 128 row dual source; somatom definition flash (Siemens medical system: Germany) was used as an equipment and high pitch mode is applied. The quality of phantom images which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noise, Uniformity, Spatial resolution was compared after each scan in the general test method and the high pitch mode. It is to know that the general scan mode can be replaced with the high pitch mode. Each. Ra (region of importance) was drawn in aorta, both femoral artery, both distal artery images acquired in the general scan mode and the high pitch mode then SD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compared. Independent sample T-test of SPSS version 12.0 for window was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DLP (dale length product) and effective dose provided from the CT equipment were compared for patient’s dose comparison. 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from multiplying DLP by the international standard conversion factor.
III. Result
There are no differences of Noise, Uniformity and Spatial resolution from AAPM phantom between the high pitch mode examination and common examinations. The T experiment results from SD figures that are compared with in clinical conditions also have no differences. Significant probabilities in 0.05 significance level(95% confidence interval) are Aorta(low: 0.096, high: 0.099), Rt.FA(low: 0.265, high: 0.265), Lt.FA(low: 0.195, high: 0.196), Rt.Dis(low: 0.575, high: 0.575), Lt,Dis(low: 0.286, high: 0.287) each. The high pitch mode examination method dropped radiation dose of 27.8% as compared with the general scan mode.
IV. Conclusions
The high pitch mode of dual source MDCT can be applied to a general mode on the lower extremity angiography. It is regarded as a useful method that is able to have dose reduction and minimize a movement of patients due to the fast scan In the case of the lower extremity angiography examination witch needs long area sca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흉부 CT 검사에서 Scan Direction이 Automatic Exposure Control을 적용한 선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daptive Dose Shield 장착 장비의 선량 평가
- 북부 Scan시 Scan Projection Radiography의 Exposure condition의 변화에 따른 선량의 영향
- CT 환자누적선량 관리 프로그램의 효용성 연구
- 복부 CT검사에서 Scan Field of View 선택이 선량과 화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간 이식 Volumetry에서 3D CT Left Volumetry 시 불분명한 경계면의 오차와 3D CT Right Volumetry의 유용성
- 북부CT검사 시 Organ Dose 계산을 위한 CTDIvol 당 Conversion Factor
- Ca scoring을 통한 Coronary artery의 Scan Parameter 최적화를 위한 연구
- 256 MDCT의 iDose⁴ 기법을 통한 Coronary Angiography 검사에서의 선량 감소 유용성
- IV route에 따른 Neck CTA 영상의 적정성에 관한 고찰
- Raw data와 Thin Axial Data로부터 구한 Coronal 영상의 질 비교
- 뇌 관련 신경외과 수술 시 Mobile CT의 임상적 적용과 유용성 평가
- 위암 진단 목적으로 복부CT검사 시 우 측와위 자세에서의 병변 검출 유용성에 관한 연구
- 동일한 Scan range의 검사에서 발생한 선량차이에 대한 연구
- Multi Detector CT에서 요추 검사 시 Scan Field Of View의 크기 변화를 통한 선량변화와 임상적용의 유용성
- 급성 뇌경색 환자의 관류 CT 검사 시 심방세동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
- 조영제 주입 끝부분에 발생하는 혈관 외 유출에 대한 정량적 분석
- 양측 하지 Direct CT Venography를 위한 카테터 제작 및 임상 유용성 평가
- Respiratory motion phantom을 이용한 Flash mode 검사에서 motion artifact 감소로 인한 화질개선과 선량감소에 관한 연구
- 뇌혈관 조영CT에 대한 320-MDCT에서의 영상의 질 및 방사선량
- CT Urography 검사 시 Compression bend와 호흡법을 이용한 영상 고찰
- CT 검사 시 표재성 장기의 선량감소효과 및 화질평가
- Brain CT 검사에 있어 수정체 피폭선량 감소를 위한 Goggle 착용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 측두골 CT에서 환자 머리둘레별 최적의 검사 조건 설정에 관한 연구
- Dual source CT 장비의 high pitch(flash) mode를 이용한 하지동맥검사의 유용성 분석
- X-care를 적용한 Chest CT검사에서 IRIS를 이용한 흡수선량 감소에 대한 연구
- 비스무트를 이용한 골반 CT검사의 피폭 경감에 관한 연구
- iDOSE⁴ 기법을 적용한 측두골의 확대영상 검사 시, DFOV 크기에 따른 영상의 질과 선량감소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