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T Radiation Dose reduction and Image Quality evaluation in superficial organs; By using Bismuth shield and X-CARE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이민영(Min Yung Lee) 오현식(Hyun Sik Oh) 한동균(Dong Kyoon Han)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4권 제2호, 39~4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Bismuth shield와 X-CARE를 같이 사용하였을 경우, 각각을 적용했을 때와의 표면선량 감소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화질평가를 통해 CT 검사 시 표재성 장기의 불필요한 피폭선량을 줄이고자 본 연구에 임하였다.
대상 및 방법
CT 장비는 Siemens 사의 Dual Source Somatom Definition Flash를 사용하였고, 표면선량측정을 위해서 Rando anthropomorphic woman phantom과 광학 유리 선량계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표재성 장기 등의 차폐를 위해 bismuth로 코팅된 라텍스를 사용하였다. 화질평가를 위해서는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ACR 인증 프로그램의 ACR 팬텀을 사용하였다. 표면선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Rando 팬텀의 안구, 갑상선, 유방, 생식기 부위의 전면부, 중심부, 측면부, 후면부에 유리선량계를 각각 2개씩 위치시켰으며, 안구 부위는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Obit protocol을 적용하고, 갑상선, 유방, 생식기 부위는 chest와 abdomen protocol을 적용시켰다. 또한 bismuth shield와 X-CARE를 같이 사용하였을 때와 각각을 따로따로 표면 장기에 적용 시 위치시킨 유리 선량계의 값을 측정하였다. ACR 팬텀을 이용한 화질비교는 균일도과 직선성 등의 항목을 평가하였다.
결과
1. 안구, 갑상선, 유방, 생식기 부위의 전면부에서의 선량감소는 bismuth shield와 X-CARE를 같이 적용시에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X-CARE와 bismuth shield 순으로 감소하였다.
2. 안구, 유방, 생식기 부위의 후면부에서의 선량증가는 X-CARE를 사용 시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bismuth shield와 X-CARE를 같이 적용 시에 증가하였다.
3. Image quality를 비교한 항목에서는 X-CARE 사용의 균일도, 직선성은 측정기준을 모두 통과하였으나, bismuth shield 사용 시와 bismuth shield와 X-CARE를 같이 적용 시에 직선성은 polyethylene 물질에서 허용치 밖에 벗어났으며, 균일도에서도 전체적으로 CT No. 값이 상승하였으며 특히 12시 방향의 Top 부분에서 증가하였다.
결론
X-CARE와 bismuth shield 사용은 표재성 장기에서의 선량 감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피폭선량 감소에 도움이 될거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I. Purpose
For the CT dose reduction in superficial organ, it s compared using bismuth shield and X-CARE at once with applying them separately. According to the image evaluation, we’ve also studied for unnecessary CT dose reduction in superficial organs.
II. Meterial and Methods
Dual source CT device(Somatom definition flash, Siemens) with Rando anthropomorphic woman phantom and optical glass dosimeter to survey superficial dose were utilized. To evaluate image quality. We used ACR phantom by ACR accreditation program in the USA, and to measure the superficial dose two optical glass dosimeters put on the frontal, center, side, back parts of Rando phantom’s orbit, thyroid, breast, genital organ in each, additionally the orbit protocol in SMC was used in the orbit examination and the other parts used with chest and abdomen protocol.
We also surveyed the measurement of optical glass dosimeter when the bismuth shield and X-CARE used at once and when they applied separately in the superficial organs.
The comparison of image quality by using ACR phantom analyzed the uniformity and linearity etc.
III. Result
1. The CT dose reduction in the frontal parts of orbit, thyroid, breast, genital organs was the most effective in using both bismuth and X-CARE at once.
2. In the back parts of orbit, breast, genital organ, CT dose was the most increased with using only X-CARE, the following one was that the two things at once were applied.
3. In the comparison of image quality, X-CARE passed the standard of the uniformity and linearity. In the linearity, not only both applying bismuth shield and X-CARE at once but also using bismuth shield was out of limit in polyethylene material. The CT No. value was totally increased in the uniformity, especially in the top area of 12 o’clock.
IV. Conclusions
Using both X-CARE and bismuth shield is a good idea to reduce in superficial organ, in particular it’s suggested to help reduce unnecessary dos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흉부 CT 검사에서 Scan Direction이 Automatic Exposure Control을 적용한 선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daptive Dose Shield 장착 장비의 선량 평가
- 북부 Scan시 Scan Projection Radiography의 Exposure condition의 변화에 따른 선량의 영향
- CT 환자누적선량 관리 프로그램의 효용성 연구
- 복부 CT검사에서 Scan Field of View 선택이 선량과 화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간 이식 Volumetry에서 3D CT Left Volumetry 시 불분명한 경계면의 오차와 3D CT Right Volumetry의 유용성
- 북부CT검사 시 Organ Dose 계산을 위한 CTDIvol 당 Conversion Factor
- Ca scoring을 통한 Coronary artery의 Scan Parameter 최적화를 위한 연구
- 256 MDCT의 iDose⁴ 기법을 통한 Coronary Angiography 검사에서의 선량 감소 유용성
- IV route에 따른 Neck CTA 영상의 적정성에 관한 고찰
- Raw data와 Thin Axial Data로부터 구한 Coronal 영상의 질 비교
- 뇌 관련 신경외과 수술 시 Mobile CT의 임상적 적용과 유용성 평가
- 위암 진단 목적으로 복부CT검사 시 우 측와위 자세에서의 병변 검출 유용성에 관한 연구
- 동일한 Scan range의 검사에서 발생한 선량차이에 대한 연구
- Multi Detector CT에서 요추 검사 시 Scan Field Of View의 크기 변화를 통한 선량변화와 임상적용의 유용성
- 급성 뇌경색 환자의 관류 CT 검사 시 심방세동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
- 조영제 주입 끝부분에 발생하는 혈관 외 유출에 대한 정량적 분석
- 양측 하지 Direct CT Venography를 위한 카테터 제작 및 임상 유용성 평가
- Respiratory motion phantom을 이용한 Flash mode 검사에서 motion artifact 감소로 인한 화질개선과 선량감소에 관한 연구
- 뇌혈관 조영CT에 대한 320-MDCT에서의 영상의 질 및 방사선량
- CT Urography 검사 시 Compression bend와 호흡법을 이용한 영상 고찰
- CT 검사 시 표재성 장기의 선량감소효과 및 화질평가
- Brain CT 검사에 있어 수정체 피폭선량 감소를 위한 Goggle 착용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 측두골 CT에서 환자 머리둘레별 최적의 검사 조건 설정에 관한 연구
- Dual source CT 장비의 high pitch(flash) mode를 이용한 하지동맥검사의 유용성 분석
- X-care를 적용한 Chest CT검사에서 IRIS를 이용한 흡수선량 감소에 대한 연구
- 비스무트를 이용한 골반 CT검사의 피폭 경감에 관한 연구
- iDOSE⁴ 기법을 적용한 측두골의 확대영상 검사 시, DFOV 크기에 따른 영상의 질과 선량감소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