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비친 중국 역사

이용수  328

영문명
Chinese history in history textbook of Korean junior and senior School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강수옥(JIANG XIUYU)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1號, 193~21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한중 양국의 정치관계는 안정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경제와 사회문화 교류도 활발히 진행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역사적 갈등과 영토를 둘러싼 분쟁, 그리고 의식형태의 차이, 체제간 대립 등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이 남아 있다. 한중 양국의 민간에서의 쟁점과 의식형태의 차이는 한국 역사 교과서에도 반영되고 있다. 한국 역사 교과서의 중국 역사에 대한 서술을 보면, 찬란했던 고대 중국을 인정하면서 자국의 문명 기원을 되돌아보고 있다. 또한 ‘華夷’체제 하의 중국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은 복잡한데, 조공체제하에서의 중국의 기타 국가들에 대한 안전보호제공을 승인하는 반면 ‘華夷’체제는 불평등한 질서의 안배라고 인식하는 경향도 있다. 한국 역사 교과서는 서술과 사진, 지도, 연표 그리고 사료 등을 통하여 정치, 경제, 외교 등여러 방면으로 당대의 중국을 소개하고 있다.중국 역사에 대한 서술의 특징을 보면 세계사를 배경으로, 더 넓은 시야로 중국사를 서술하였 으며 중국 역사 사건들과 인물들에 대해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지리적인 요인이 인류 역사 발전에 끼치는 영향 역시 중시한다. 한국 역사 교과서에 존재하는 문제를 살펴보면 민족, 국가와 강역 문제, 중국 현대사에 대한 서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 문제 등에 여전히 중국과 이데올로기의 차이, 역사 문화적 인식의 불일치 등 마찰과 갈등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한국 역사 교과서에 수록 정리된 중국 역사의 내용을 참고로 한국 역사 교과서에 서의 중국 역사에 대한 서술, 중국 역사에 대한 서술의 특징, 한국 역사 교과서에 존재하는 문제 등 세 가지 점들을 검토하면서 중국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과 한국인들의 중국관을 통찰함과 동시에 양국의 역사적, 문화적 충돌에 대한 대안과 해결책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 political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have been characterized by stable situation and relatively active economic and social cultural exchanges.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such as historical disputes, territorial disputes, ideological differences and regime opposition. The disputes and ideological differences among the people in China and South Korea are also reflected in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historical narration of China enables foreign youths to understand Chinese history and Chinese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China to make researches on Korean history textbooks. Through people-to-people exchanges, diplomacy and other channel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a correct image of China can be established and the people-to-people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can be promoted. Besides, through the researches on Korean history textbooks, we can look back upon Chinese history. This paper explores the narration of Chinese history in Korean textbooks, i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its problems according to the narrations. It further studies the understanding of China in Korean society and Koreans’ views of China. At the same time, it tries to find out the measures and solutions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fli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역사 교과서의 중국 역사에 대한 서술
Ⅲ. 중국 역사에 대한 서술의 특징
Ⅳ. 한국 역사 교과서에 존재하는 문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수옥(JIANG XIUYU). (2018).한국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비친 중국 역사. 백산학보, (111), 193-210

MLA

강수옥(JIANG XIUYU). "한국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비친 중국 역사." 백산학보, .111(2018): 193-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