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SR·CSV 활동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이용수  925

영문명
A Study on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SR·CSV Activities on Consumers’ Attitudes: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Korean Four Large Companies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최성보(Choi, Seongbo)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36권 제2호, 113~12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CSR(공유가치창출) 두 개념의 의의와 차이에 관하여 학자들과 실무자들 간에 논쟁이 끊이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 이에 국내 4개 대기업의 CSR/CSV활동과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토대로 CSR활동과 CSV활동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신뢰를 매개로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서 CSR활동의 진정성과 CSV활동의 진정성 수준이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1,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서베이 자료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R활동과 CSV활동이 각각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신뢰를 매개로 브랜드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CSR활동이 CSV활동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쳤다. 둘째, CSR활동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CSR활동→브랜드이미지/브랜드신뢰 경로는 CSR활동의 진정성 수준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으나, CSV활동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CSV활동→브랜드이미지/브랜드신뢰 경로는 CSV활동의 진정성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브랜드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CSV활동보다는 CSR활동을 촉진하는데 더 힘쓸 필요가 있으며, CSV활동에는 사회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진정성이 담겨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controversy between scholars and practitioners on the significance and difference of the concepts of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SV(Creating Shared Value) is constantly ongoing. Based on CSR/CSV activities and Sustainability Reports of four big companies in Korea, this study verified using survey data from 1,000 consumers whether the consumer perception of CSR activities and CSV activities affect the brand loyalty through brand image and brand trust, and whether the level of authenticity of CSR activities and CSV activities plays a modul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oth CSR activities and CSV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brand loyalty through brand image and brand trust, and CSR activities had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than CSV activiti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ctivities and brand loyalty, CSR activity → brand image/brand trust path were not modulated by the level of authenticity of CSR activity, b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V activities and brand loyalty, CSV activities → brand image/Brand trust path were modulated by the level of authenticity of CSV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promote CSR activities than CSV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brand loyalty, and that the authenticity to solve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is very important when CSV activities are carried ou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보(Choi, Seongbo). (2018).CSR·CSV 활동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36 (2), 113-128

MLA

최성보(Choi, Seongbo). "CSR·CSV 활동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36.2(2018): 113-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