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Seon eok Kim(金善億) Duk hwan Hwang(黃德煥)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19권 5호, 73~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6.10.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筆者는 1981年 파리, 1983年 마닐라에서 개최되었던 CGMW會議에 參席함을 계기로 世界共通의 製作規約을 遵守해 가면서 大韓地質圖 및 한국의 地體構造圖를 基本圖로 하여 그간의 鑛床調査硏究資料中 444個 主要對象鑛床을 選定, 이들 資料를 整理綜合 分類하여 1983年에 한국의 鑛床生成圖를 發刊(韓國動力資源硏究所)한 바 있다.
처음 試圖된 일이었을 뿐 아니라 對象個個 鑛床의 精密調査資料가 不足하여 恰足하지 못하였음에 次後 보다 補完된 充實한 內容의 鑛床生成圖를 期待하여 마지 않는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make preparation of the Metallogenic Map of Korea, the writer have to collect and review the data of general geology and ore deposits of Korea which have been published up to date. The geology of Korea has been briefly simplified and grouped into the 15 formations so as to provide the base geologic map for making the Metallogenic Map of Korea.
Geologic provinces of south Korea are divided into four, that is, Gyeonggi-Ryeongnam province, Ogcheon geosynclinal province, Gyeongsang basin province and Tertiary province. In the view of tectonics and related granites, the major orogenies in south Korea are as follows; Ryeongnam orogeny, Taebaeg disturbance, post-Sangweon disturbance, post-Joseon disturbance, Bulgugsa disturbance and Yeonil disturbance. Metallogenic epochs might coincide with the period of syntectonic or subsequent igneous rock intrusions accompanied with the above listed orogenies and disturbances. Thus, metallogenic epochs that are certain in Korea so far are; Precambrian periods, Paleozoic periods,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periods, late Cretaceous to early Tertiary periods, Quaternary periods and age-unknown periods.
The Metallogenic Map of Korea shows 444 ore deposits and/or mines by symbols on a background adopted from the existing geologic and tectonic map. The 444 metallic and non-metallic deposits are categorized by the commodities they contain, size, geologic environment, mineralized age and mineralogic nature.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GEOLOGY
TECTONICS AND RELATED GRANITES
METALLOGENIC EPOCHS
METALLOGENIC PROVINCES
METALLOGENIC MAP OF KOREA
REFERENCES
要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上東鑛床의 큰 규모와 작은 규모의 地化學的 對比硏究
- 沃川帶 우라늄鑛層의 構造規制 및 地球化學的 特性硏究
- 鑛物共生의 槪念에 對한 問題點과 鑛脈鑛床의 macrostructure
- 巨濟 東亞鑛山의 地質 및 鑛床
- 忠淸道 東北部 泰昌ㆍ寶蓮, 金旺 鑛山의 金銀鑛化作用
- 三紀層에 胚胎된 벤토나이트의 酸素 및 水素同位元素 硏究
- Metallogenesis in Korea
- 德蔭鑛山 銀鑛物의 粒度와 組織
- 韓半島 南部地域의 고령토-납석鑛床 生成機構
- Iron, manganese and cadmium contents of sphalerites and their genetical implications to hydrothermal metallic ore deposits in Korea
- 嶺南陸塊에 分布하는 古期花崗岩質岩의 地質年代와 成因에 對한 硏究
- 沃川變成帶內에 分布하는 우라늄鑛床의 同位元素 地球化學的 硏究
- 韓國 將軍鑛山의 黃錫石에 對하여
- Geochemistry of Ogbang tungsten deposits, Southern Korea
- Mineralogical studies on sulfide ore species of the Tong Myeong tungsten deposits
- 沃川帶의 地質 및 鑛物資源에 關한 硏究
- 咸白盆地 南部地域에 分布하는 白堊紀 花崗岩質岩類의 岩石化學的 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유해남조류 발생도표 제안 연구 - 팔당댐과 칠서지점을 대상으로
- 염주알다슬기(Koreoleptoxis nodifila (Martens, 1886)) 서식지에 대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종 다양성 및 섭식기능군에 관한 연구 -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 지역을 중심으로 -
- 기초지자체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연구: 동대문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