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ies on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the Okcheon belts -mineralization in the vicinity of the Muamsa granite stock-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Suckew Yun(尹碩奎) Kyu Han Kim(金奎漢) Jong Sang Woo(禹鍾象)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19권 5호, 3~1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6.10.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Hundred mineral deposits including W-Mo, Pb-Zn-Cu, fluorite and talc occur in the Cambro-Ordovician limestone contacting with the Cretaceous Muamsa and Wolak granitoids in the Susanri-Hwanggangri mineralized zone. In most mineral deposits characterized by metasomatic replacement, skarn and hydrothermal vein types, two distinct tendencies were found as W-Mo mineralization in or/and near granitoid batholith and Pb-Zn-Cu(CaF₂) mineralization which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batholith.
W-Mo veins of extensive vein system occupy northly striking fractures whilst Pb-Zn-Cu-CaF₂ veins strike northeast or northwest.
In this work, three representative lead-zinc-copper deposits choosing the Dangdu, Useog and Boksu mines were dealt with in detail.
Skarn ore bodies in the Dangdu mine were grouped into early diopside rich clinopyoxene-garnet, barren skarn and ore bearing late hedenbergite rich clinopyroxene-garnet skarn. Temperature and Xco₂ obtained from hedenbergite-andradite-calcite-quartz mineral equilibria in the Dangdu ore deposits were 580~650℃ and 0.15~0.3, respectively.
Fluid inclusion evidence in the Useog mine indicates that main stage mineralization temperature ranges from 224 to 389℃ with a salinity ot 2~17 equivalent wt. percent NaCl.
Sphalerites from the Dangdu and Useog mines have 16~17.7 mole percent in FeS which is relatively consistent to those of some other lead-zinc ore deposits in South Korea.
Filling temperature of fluid inclusion from the Boksu mine shows deposition of ore within the temperature ranges from 237 to 347℃ and within the salinity ranges from 2.6 to 10.77 equivalent wt. percent NaCl.
목차
Abstract
序言
黃江里-水山里地域 鑛化帶의 槪要
主要 鉛-亞鉛-銅 鑛床
結言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上東鑛床의 큰 규모와 작은 규모의 地化學的 對比硏究
- 沃川帶 우라늄鑛層의 構造規制 및 地球化學的 特性硏究
- 鑛物共生의 槪念에 對한 問題點과 鑛脈鑛床의 macrostructure
- 巨濟 東亞鑛山의 地質 및 鑛床
- 忠淸道 東北部 泰昌ㆍ寶蓮, 金旺 鑛山의 金銀鑛化作用
- 三紀層에 胚胎된 벤토나이트의 酸素 및 水素同位元素 硏究
- Metallogenesis in Korea
- 德蔭鑛山 銀鑛物의 粒度와 組織
- 韓半島 南部地域의 고령토-납석鑛床 生成機構
- Iron, manganese and cadmium contents of sphalerites and their genetical implications to hydrothermal metallic ore deposits in Korea
- 嶺南陸塊에 分布하는 古期花崗岩質岩의 地質年代와 成因에 對한 硏究
- 沃川變成帶內에 分布하는 우라늄鑛床의 同位元素 地球化學的 硏究
- 韓國 將軍鑛山의 黃錫石에 對하여
- Geochemistry of Ogbang tungsten deposits, Southern Korea
- Mineralogical studies on sulfide ore species of the Tong Myeong tungsten deposits
- 沃川帶의 地質 및 鑛物資源에 關한 硏究
- 咸白盆地 南部地域에 分布하는 白堊紀 花崗岩質岩類의 岩石化學的 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유해남조류 발생도표 제안 연구 - 팔당댐과 칠서지점을 대상으로
- 염주알다슬기(Koreoleptoxis nodifila (Martens, 1886)) 서식지에 대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종 다양성 및 섭식기능군에 관한 연구 -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 지역을 중심으로 -
- 기초지자체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연구: 동대문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