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초기수학능력
이용수 34
- 영문명
- Preschool Children’s Mathematics Abilit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김반재(Banjae Kim) 부성숙(Sungsook Pu)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19권 제1호, 85~11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본 연구의 목적은 K-TEMA를 사용하여 유아의 전반적인 초기수학능력과 유아와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초기수학능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학부모에게 유아의 수학능력 계발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만 3세, 4세, 5세 유아 269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통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반적으로 유아의 비형식적 수학능력의 점수가 형식적 수학능력 점수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고, 비형식적 수학능력의 하위영역 중 개념, 수세기, 수 비교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유아의 초기수학능력 수준은‘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성별 초기수학능력은 원점수에서 남아와 여아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표준점수와 백분위 점수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유아의 초기수학능력은 원점수, 표준점수, 백분위 점수 모두 연령이 높아질수록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기관유형별 유아의 초기수학능력은 형식적 수학능력, 표준점수, 백분위 점수에서 유치원이 어린이집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연령별 초기수학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부모의 교육 수준별 유아의 초기수학능력은 비형식적 수학능력, 표준점수, 백분위 점수에서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점
수가 높게 나타났고, 교육수준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소득수준별 유아의 초기수학능력은 원점 수, 표준점수, 백분위 점수 모두에서 부모의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소득수준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daptation of K-TEMA, which was the Test of Early Mathematics Ability in Korea, to investigate the preschool children’s mathematics abilit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Participants were 269 preschoolers attending kindergartens in Korea and descriptive, t-test, One-way ANOVA,
Scheffé analysis were conducted. Study results show that, First, regarding the mathematical ability scores of the preschoolers on K-TEMA, their raw scores significantly higher for informal mathematical knowledge than formal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ir standard and percentile scores were all on the average. Second, the preschoolers who were older scored higher and their formal knowledge were higher for attending kindergartens than
nursury school. Their raw scor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but standard and percentile scor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As for their mathematical ability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ir parent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cademic credential and income of the parents. The preschoolers whose parents were better educated and larger income earners scored high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