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량박타령> 연구
이용수 49
- 영문명
- A Study on the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진은진(Jin, Eunjin) 김동건(Kim, Dongkeon)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41권, 363~39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개량박타령>은 판소리 고급 감상자이자 개작자였던 장재열이 필사한 <흥부전> 이본으로, 장재열의 다른 판소리 필사본으로는 <춘향전> 이본인 <호남기담>, <심청전> 이본인 <강상련>이 있다. 이 논문은 <개량박타령>의 특징을 해명함으로써 20세기 판소리 <흥부가> 향유의 한 방식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개량박타령>은 주로 신재효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지만 장재열은 분명한 개작의식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즉 신재효본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과 함께 우애라고 하는 분명한 주제의식을 가지고 자기 나름의 합리적인 개적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개량박타령>은 음악적 표지나 판소리적인 표현은 물론, 잡가나 민요등의 당대 시가를 충분히 삽입하면서 판소리적 재미를 놓치지 않는 한편 지나치게속되거나 비윤리적인 내용을 삭제하는 등 일관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개량박타령>에는 장재열의 풍류적 취향 또한 잘 드러나 있어 당대 판소리 향유자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개량박타령>은 판소리의 중심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20세기초 판소리의 또 다른 모습과 판소리 감상자의 적극적인 향유 태도와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GaeryangPaktaryeong is a version of “HeungBu-jeon”, written by JangJae-yol, who was a high-ranking listener and author of Pansori along with HonamJidam , GangSangryeon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ay of enjoyment of Pansori in the 20th century by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eryangPaktaryeong
Although it seems that GaeryangPaktaryeong was mainly influenced by Shin Jae-hyo, JangJae-yol attempted to rationalize his own way with a critical view of ShinJae-hyo with a conscious change of consciousness.
In addition to musical markings and pansori expressions, GaeryangPaktaryeong has a consistent attitude including inserting enough current poems such as poems and folksongs, deleting excessive or unethical content while not missing the Pansori fun. Lastly, in GaeryangPaktaryeong , JangJae-yeol s well-known tastes are also
revealed, so that the attitude of the pansori enjoyers can be confirmed.
Although it is not at the center of Pansori, it is significant that another aspect of Pansori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active attitude and manner of Pansori listeners can be confirmed.
목차
Ⅰ. 서론
Ⅱ. <개량박타령>의 서사 전개와 특징
Ⅲ. 장재열의 개작의식과 <개량박타령>의 성격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金安國>의 정체성 확립의 변증법
- 「현수문전」 경판본의 표면적 지향과 이면적 실체
- 애민사상의 정신분석
- <보리밥 장군>에 나타난 ‘대식’ 화소를 통해 살펴본 독립과 자아실현의 의미
- 조선후기 야담에 나타난 여성 정욕의 표출과 그 대응의 몇 국면
- 조선 후기 야담에 나타난 송사담의 세 유형과 그 의미
- ‘스승 얻는 이야기’로 읽는 <전우치전>
- <개량박타령> 연구
- 한국고전연구 제41권 목차
- 국문장편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 ‘꽃 피우기’의 실제와 ‘꽃에게 묻기’의 대안적 가능성
- 환관 이야기에 나타나는 젠더 이분법의 균열 양상과 그 의미
- 한국고전연구학회 휘보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이상리뷰 23호 목차
- 해방기 현대시조의 차이와 반복
- 1930년대 모더니즘 텍스트의 알레고리적 양상 연구(4) - 박태원의 금홍계열 (사)소설에 나타나는 우울한 모더니스트의 (불)가능한 행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