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수문전」 경판본의 표면적 지향과 이면적 실체
이용수 89
- 영문명
- Ostensible orientation and inside substance of
Gyeongpan edition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주수민(Joo, Soo-min)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41권, 261~2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현수문전」 경판본의 서사적 특징과 작자의식을 선본과의 관련 속에서 논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경판본의 서사 변개는 선본에서 왕조교체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 사건들에서 나타났으며, 그 과정에서 ‘송조의 멸망과 여진의 건국’을 담은 진강도인의 예언은 결국 불발했다. 본고는 이러한 양상을 통해, 경판본의 서사가 이민족에 의한 왕조교체를 지양하는 가운데 송조의 존립을 지향하고 있다고 보았다. 한편, 인물형상에 나타난 작자인식은 겉으로 드러나는 경판본의 서사적 지향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다시 말해, 경판본에서 현수문․현침 부자는 충성심이 강화되어 있었으며 신천자는 천벌을 받는 인물로 설정되어 있어 선본과는 일정한 차이를 보였다. 본고는 이러한 인물형상이 몇몇 충신들에 의해 간신히 존립하고 있는 송조의 위태로움을 부각하는 가운데, 결국은 송조에 대한 절대성을 상실한 작자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더불어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경판본이 존명의식이 시의성을 상실해버린 상황에서도 여전히 관념적으로 대명의리를 추수했던 조선 후기 대외인식의 한 단면을 반영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Gyeongpan edition of Hyeonsumunjeon· under the magnetic field of its the best version. First,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pan edition is based on the events related to the dynastic change shown in the best version, and it is not realized the prophecy of the Jingang Doin, which is “Destruction of the Song and foundation of Yeojin in the process. This paper shows that the narratives of the Gyeongpan edition are ultimately directed toward the existence of the Song and sublates the dynastic change by other nations.
Meanwhile, intention of writer looks different to ostensible narration of the Gyeongpan edition. It means writer of the Gyeongpan edition expresse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Song dynasty and gave prominence to dangerous situation of Song that barely maintained by a few loyalis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heroes who are loyal father and son, main characters, and Shincheonja punished by heaven. The Gyeongpan edition follows existence of the Song dynasty on the surface but express loss of the Song dynasty’s absoluteness. This paper says that Gyeongpan edition is reflected external awareness of late Joseon dynasty that it has fidelity ideologically in a situation lack of respection about Myoung dynasty..
목차
1. 서론
2. 경판본의 서사적 특징
1) ‘왕조교체’에 집중된 서사 변개
2) 고소설 서사문법의 파괴, ‘예언의 불발’
3. 인물형상에 나타난 경판본의 작자인식
1) 충성심이 강화된 주인공 부자
2) 천벌을 받는 신천자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金安國>의 정체성 확립의 변증법
- 「현수문전」 경판본의 표면적 지향과 이면적 실체
- 애민사상의 정신분석
- <보리밥 장군>에 나타난 ‘대식’ 화소를 통해 살펴본 독립과 자아실현의 의미
- 조선후기 야담에 나타난 여성 정욕의 표출과 그 대응의 몇 국면
- 조선 후기 야담에 나타난 송사담의 세 유형과 그 의미
- ‘스승 얻는 이야기’로 읽는 <전우치전>
- <개량박타령> 연구
- 한국고전연구 제41권 목차
- 국문장편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 ‘꽃 피우기’의 실제와 ‘꽃에게 묻기’의 대안적 가능성
- 환관 이야기에 나타나는 젠더 이분법의 균열 양상과 그 의미
- 한국고전연구학회 휘보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이상리뷰 23호 목차
- 해방기 현대시조의 차이와 반복
- 1930년대 모더니즘 텍스트의 알레고리적 양상 연구(4) - 박태원의 금홍계열 (사)소설에 나타나는 우울한 모더니스트의 (불)가능한 행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