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성음악치료사들이 경험하는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이용수 546
- 영문명
-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Male Music Therapist’s Experiences in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곽영신(Youngsin Kwak) 김동민(Dongmin K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4권 제1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남성음악치료사들이 직업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음악치료사 직업을 유지하고 있는 남성음악치료사 여덟 명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한 뒤, 수집된 면담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업 선택 동기’, ‘전문성 관련 어려움 경험’, ‘전문성 관련 어려움 극복 경험’, ‘전문성 관련 긍정적 경험’, ‘후배 남성음악치료사들을 위한 제언’ 총 다섯 개의 영역과 열일곱 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남성음악치료사들은 직업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전문성 관련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전문적 성장을 이루며, 그들의 희소적 특성에 따른 강점을 통해 긍정 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음악치료 분야 내 남성의 고유한 경험을 고찰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음악 치료 분야에 입문하게 될 남학생들과 초보 남성음악치료사들의 전문가적 소양 형성에 방향성을 제시하여 그들의 직업정체성을 공고히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male music therapists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 To that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male music therapist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and used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analysis was defined in five categories: motivation in selecting profession, experiencing difficulties related to the profession, experiences in overcoming difficulties related to the profession, positive experience related to the profession, and suggestions for junior male therapists and these are divided into 17 sub-categories. It was found that male music therapists experience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profession while develop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but they achieve professional growth, making effort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 status of being just a few in the field were found to be advantageous for their scarc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iewed the unique experiences of men with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It also provides a basic set of data that can distinguish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male music therapists to offer them a direction for professional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