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stablishment of YiSunSin-Hak and its Ideological Foundations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 저자명
- 조신호(Jo Shin Ho)
- 간행물 정보
- 『이순신연구논총』제23호, 1~41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충무공 이순신의 삶을 계승, 현창(顯彰)하는 노력이 400년이 넘도록 지속되어 왔다. 그 과정은 세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17세기 초부터 1990년대까지 생애와 업적에 관한 연구와 저술이 지속된 오랜 기간이다. 둘째는 2000년에서 2012년까지 리더십 분야가 추가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던 기간이다. 리더십 이라는 새로운 분야는 이순신 연구의 폭과 깊이를 더하는데 많은 성과를 가져왔으며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가능성도 제시해 주기도 했다. 셋째는 2013년 후반기부터 선행 연구 영역에 이순신의 사상적 배경이 추가되는 단계를 말한다.
이순신 연구 제3단계에 요청되는 또 하나의 과제는 <이순신학회>를 창립하여 <이순신학(學)>을 정립하는 일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퇴계학, 율곡학, 남명학의 경우 많은 학자들이 퇴계, 율곡, 남명의 학문과 정신을 지속적으로 탐구하면서 우리 사회에 많은 공헌을 해 오고 있다. 이순신학(李舜臣學)도 연구의 새로운 전기(轉機)를 마련하여 국내는 물론 세계만방에 성웅 이순신이 널리 전파되기를 기대한다.
이순신학은 이순신의 사상적 배경을 토대로 발전되어야 한다. 그 첫 번째 열쇠는 유학을 통한 인격도야이다. 유학이 추구하는 군자의 덕은 타고난 덕을 더욱 밝게 하여, 즉 세상 세상을 두루 사랑하는 마음을 함양하여, 온 백성과 하나 되고, 더불어 지극히 행복한 삶을 누리는데 있다.(在明明德, 在親民, 在止於至善)
두 번째 열쇠는 병법(兵法)에서 터득한 문무겸전(文武兼全)의 지도력이다. 이순신은 손자(孫子), 오자(吳子), 태공망(太公望), 사마양저(司馬穰苴), 그리고 위료자(蔚繚子)를 스승으로 삼아 중국 최고의 병법을 실전에 활용하여 연전연승을 이루었다. 그리고 백성들과 아픔을 함께 하며 그들의 삶을 보살피는 경영의 지혜는 장량(張良), 제갈공명(諸葛孔明), 전단(田單), 조충국(趙充國), 악비(岳飛), 이목(李牧), 이강(李綱), 그리고 유기(劉錡)로부터 배워서 수군의 경영하고 백성들을 보살폈던 업적을 이루었다.
이순신의 사상적 배경을 이해하는 세 번째 열쇠는 홍익인간 이념이다. 단군설화(檀君說話)에 들어있는 핵심 사상은 사람답게 살고자하는 마음으로(願化爲人),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의 덕을 베풀어, 세상을 진리로 감화하는 재세이화(在世理化)을 실현하는 삶이다. 유학의 덕과 병법의 궁극적인 목적은 백성들의 잘 살게 하는 치국평천하 달성에 있으므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홍익인간 이념은 유학과 병법 두 가지를 통합된 우리 민족의 고유사상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ut together and examine the steps of succeeding to Admiral Yi, Sun-Sin and the history of studying on his life and distinguished achievements, and then classify them under three stages. The second aim is to suggest the need and possibility of the Yisunsin-hak(Yisunsin Study). The third is to bring the ideological foundations of admiral Yi for the core element of Yisunsin-hak. They are the virtue of Confucianism, the Oriental arts of war, and the Philanthropia(홍익인간), the nation’s founding principle of Korea.
The effort to succeed to admiral Yi and the history of studying on his whole life and achievements lasted for over four hundred years. Being pieced together and examined the steps of them, it can be classified under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was that, from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to the late 1990s, stone monuments and shrines for him were erected one by one at first, and the publications on his career and achievements were appeared as time goes by. The second stage is that, from 2000 to 2012, the leadership of Admiral Yi began to be studied as a new field, and it achieved good results to add depth and broaden the scope of studying. The third stage was started from the end of 2013, the ideological foundations of admiral Yi was included on the study of his career, achievements, and leadership. In Korea scholars have studied together in one accord the learning of Lee Hwang, Lee Yi and Jo Sik under the title of Toege-hak, Yulgok-hak, and Nammyong-hak taking their name from pen name. Now we need to establish Yisunsin-hak(Yisunsin-Study) to contribute not only Korean society but also all over the world through the study of admiral Yi’s philosophy and distinguished accomplishments.
The core of Yisunsin-hak is to understand the ideological foundations of admiral Yi. The first key point of it is the virtue of Confucianism, especially a gunja(君子), a man of virtue to fulfill its philosophy. The gunja is a man who brighten virtue which was bright originally, become part of all people, and reach the highest good, happy life(在明明德, 在親民, 在止於至善).
The second is the Oriental arts of war. Admiral Yi learned and made full use of the best of war on the ground of Sonja(孫子), Ohja(吳子), Taegongmang(太公望), Samaynangjeo(司馬穰苴), Wiryoja(蔚繚子) who had been great tactician in China. He studied the wisdom of leadership to command navy forces and take care of helpless subjects at the terrible war on the ground of Jangryang(張良), Jegalgongmyong(諸葛孔明), Jeondan(田單), Jochungguk(趙充國), Akbi(岳飛), Yimok(李牧), Yigang(李綱), and Yougi(劉錡) who had been great military strategists.
The third is Humanitarianism(弘益人間), the nation’s founding principle of Korea. The ideal means training one’s mind and body to be a true man, and becoming a man better others around the world(弘益人間). It can unify the virtue of Confucianism and the Oriental arts of war. Admiral Yi sticked to the humanitarian ideal in many ways for his whole life.
목차
<국문초록>
Ⅰ. 서언
Ⅱ. 이순신 정신의 계승과 현창 과정
Ⅲ. 이순신학(李舜臣學)의 정립
Ⅳ. 이순신의 사상적 배경
Ⅴ. 결언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평] 정책사와 경영사를 아우르는 최초의 일제시기 사설철도 연구서 (林采成, 『帝国と私鉄: 朝鮮開発をめぐる総督府と日本資本)』
- 일제 헌병에 피탈된 의병자료의 환수
- 일제하 조선인의 「아동학대방지령」 요구와 식민 권력의 대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