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ung-ji(鄭地)’s Maritime defense theory and Naval Force Activities towards the end of Koryo(高麗)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 저자명
- 신성재(Shin Seong Jae)
- 간행물 정보
- 『이순신연구논총』제23호, 1~3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지(鄭地)는 1347년(충목왕 3)에 나주(羅州) 거평(居平) 죽곡리(竹谷里)에서 태어났다. 그는 장대한 체구에 성격이 온화하고 문무를 겸전한 인물이었다. 그는 사졸들을 진솔한 마음으로 사랑하였고, 솔선수범하는 장수였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준비심이 투철하였고, 책임감과 사명감 또한 강한 인물이었다. 당당하면서도 천명에 순응할줄 알았으며, 직분에 충실한 장수였다. 장수로서 이러한 자질을 갖춘 정지는 조선전기 관료들 사이에서 유장(儒將)으로 존숭되었다.
정지가 태어난 1347년은 왜구(倭寇)가 침략 행위를 가시화해 가던 시기였다. 특히 1350년부터 시작된 경인년(庚寅年)의 왜구는 고려 정부에 극심한 피해를 입혔다. 고려 정부의 관료들은 방왜책을 모색하였다. 이색(李穡)과 우현보((禹玄寶)는 그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이들이 제시한 방왜책은 육지에서의 수비와 해상에서의 전투를 병행하는 것이었다.
최영을 중심으로 하는 무장층 또한 방왜책을 모색하여 대규모의 함대 건설이 추진되기도 하였다. 정지 역시 왜구를 퇴치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방론(海防論)을 제시하였다. 그의 해방론은 대규모의 함대 건설보다는 질적으로 우수한 병력을 양성하여 대처하는 것이었다. 이는 실질적인 수군력 강화에 무게를 둔 대응책이었다.
정지는 자신이 제시한 해방론에 따라 무기체계와 전술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전문적인 수군을 양성하였다. 이렇게 양성된 수군들은 당대에 개발된 병기와 기술, 화약 무기를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진포해전(鎭浦海戰)과 관음포해전(觀音浦海戰)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정지는 이러한 군사적 자신감에 근간하여 1387년 일본(日本)을 정벌하는 동정론(東征論)을 건의하였다. 그의 건의는 실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1389년 박위(朴葳)를 사령관으로하는 고려군은 대마도(對馬島)에 대한 정벌을 단행하였다. 정지의 해방론에 근간하여 수군력을 강화시킨 결과 고려는 왜구의 침략을 근절할 수 있게 되었다.
영문 초록
Jung-ji(鄭地) was born in Naju(羅州) Geopyeong(居平) Jukgok-ri(竹谷里), 1347. He had a huge body with a gentle personality and was skilled at both literary and martial arts. He loved his soldiers and was a general who led by example. He was a character who thoroughly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and possessed a strong sense of mission and responsibilities. He had an imposing air yet resigned himself to fate and was a warrior fully committed to his duty. It was such qualities of Jung-ji that led the bureaucrat’s of early Chosun to hold him in reverence as the literati general (儒將).
When Jung-ji was born in 1347, the japanese invasive activities became more notable than any other period. Especially since 1350, the beginning of the year of Kyungin(庚寅年), the Koryo administration suffered extensive damage from the Japanese invaders. The bureaucrat’s of the Koryo government began searching for defensive strategies. Lee-Saek(李穡) and Woo-Hyeonbo(禹玄寶) were two key members. They presented a defensive preparation to guard the land while engaging in combat on sea. The opinions brought up by the commanding class including Lee-Saek and Woo-Hyeonbo were accepted and expedited the establishment of a large scale fleet. Jung-ji also came up with the Maritime defense theory. His Maritime defense theory placed more weight in raising superior qualities of militant forces rather than constructing a large scale fleet.
Jung-ji developed specialized naval soldiers that could effectively employ the weapon systems and tactics suggested in his Maritime defense theory. These trained naval soldiers were capable of effectively using the newly developed weaponries and technological, chemical weapons of the time and prevail the naval battles. Jinpo(鎭浦) and Gwaneumpo(觀音浦) naval battles were two major results. In 1387 Jung-ji proposed conquering Japan as he was confident in his military strategies. His proposal was not executed. However in 1389, with Park-wi(朴葳) as the commander of the Koryo Armed forces, went on an expedition to conquer Daema Island(對馬島). The reinforcement of the naval forces based on Jung-ji’s Maritime defense theory resulted in eradicating the Japanese invader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출신과 성품, 장수로서의 자질
Ⅲ. 공민왕대 방왜책과 정지의 해방론
Ⅳ. 정지의 수군력 강화와 수군활동
Ⅴ.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평] 정책사와 경영사를 아우르는 최초의 일제시기 사설철도 연구서 (林采成, 『帝国と私鉄: 朝鮮開発をめぐる総督府と日本資本)』
- 일제 헌병에 피탈된 의병자료의 환수
- 일제하 조선인의 「아동학대방지령」 요구와 식민 권력의 대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