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에 나타나는 법문학연구
이용수 838
- 영문명
- Study on Lawliterature「The Reader」 by Bernhard Schlink
- 발행기관
- 한국독일사학회
- 저자명
- 최윤영(Yoon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독일연구』Vol.37, 201~2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베르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Der Vorleser 에 나타나는 독일 법문학의 양상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법문학이라는 학제적인 연구는 법철학, 법사회학, 법경제학과 아직 활발한 연구주제는 아니다. 그러나 일찍이 법을 다룬 문학작품들은 괴테, 클라이스트, 뒤렌마트, 카프카등에 수 없이 많은 작가들에 의해 쓰여져 왔다. 197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하게 된 법문학연구는 마사 누스바움의 시적 정의Poetie Justice 란 책을 통해서 더욱 발전된다. 문학적 상상력이 더해진 법적 상상력은 재판관의 제한적인 판단을 확장시켜주고, 이러한 확장된 판단을 통해 옳고 그른 판단을 하기 위한 기폭제 역할을 한다. 초기에 문학에 나타나는 법적 양상들을 연구하는 문학에서의 법 에서 문학을 통한 법의 다양한 모습을 구현하는 문학으로서의 법 으로 법문학 운동은 발전 전개되어져 왔다. 책 읽어주는 남자Der Vorleser 의 저자 슐링크 역시 법학자로서 보아왔던 법적인 문제들을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글로 표현하였다. 법률 불소급 문제, 과거의 죄, 자연법과 실정법의 경계등의 그간 법학에서 논란이 되어왔던 주제들을 주인공 미하엘과 한나의 이야기로 풀어나가면서 독자들에게 전달한다. 또한 그는 뉘른 베르크 전범재판과 같이 2부에서 전범자였던 한나의 재판을 미하엘의 관점에서 보여준다. 독일에서 실제로도 있었던 전범재판은 나치시대의 전범자 들을 재판하고 처벌하려는 자들와 자신의 죄를 인식하지 못하는 전범자들 의 모습을 법학도 미하엘이라는 관찰자의 관점에서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미하엘은 재판을 단순히 관찰자의 시점에서 지켜보다가, 점점 재판에 빠져 들게 되고, 결국 그는 재판의 참여자가 된다. 결국 그는 자신의 첫사랑이였던 전범자 한나의 문맹을 알아내지만, 침묵으로 묵인해버린다. 결국 한나의 문맹은 밝혀지지 않은 채 한나는 중형을 선고받게 된다. 결국 미하엘은 자신이 비난하던 전쟁세대의 ‘침묵’과 ‘방조’처럼 자신도 ‘침묵’하고 내버려 둔다. 이러한 그의 침묵은 결국 글을 통해서 치유되고, 스스로 나치수용소의 피해자이였고 생존자이기도 한 여인에게 ‘한나와 자신의 부적절한 관계’ 를 털어놓음으로써 침묵에서 벗어나게 된다. 저자 슐링크는 이러한 한나와 미하엘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어두운 과거의 역사를 처벌하는 것은 어디까지 가능한 것이고, 과연 누구까지 처벌받아야만 하는가 하는 문제는 늘 의문되어진다. 본 연구자는 문학에서의 나타나는 다양한 법과 역사, 사회의 모습들을 분석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문 초록
In the present work I try the novel 「The Reader」 by Bernhard Schlink.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the movement of Lawliterature develops. It is law as literature or law in the literature. But law literature is not yet current topics like other topics. eg law philosophy, and law economy. But before that there were many novels about law and justice. Some writers, Goethe, Kleist, Dürrenmant, Kafka, etc., have already written about it, the law philosopher Masa Nussbaum s poetic justice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law literature. Through poetic justification law justice becomes reality. With a literal idea, the legal notion increases. Judges will give correct judgments and behavior with the public concept. Lawyer and writer Bernhard Schlink published the novel 「Der Vorleser」 in 1995. The novel consisted of 3 parts and he was very obese and later was filmed. Schlink moves into a love story between a 36-year-old woman (Hanna) and a 15-year-old boy (Michael). She was illiterate, Michael recognized it but he was silent in the process. That s why she has committed serious crimes. Finally, the defendant was severely punished. Later, she committed suicide and has Michael writing about her and writing to herself. In the novel there are also important elements for lawliterature. These are the retroactivity ban, Nazi past, conflict between the war generation and the post-war generation. The post-wargeneration calls the collective conviction and the parent generation and ashamed of the parent generation. But how can the post-war generation overcome this shame? And how does it make it possible to let the past rest? How many people were punished by the past? Many past problems must be solved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literature and law or literature and histor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법문학
Ⅲ. 문학에서의 정의
Ⅳ.『책 읽어주는 남자 Der Vorleser』에 나타나는 법의 양상들
Ⅴ.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종주의적 반유대주의의 새로움
- A Study of South Korean Migrant Nurses in West German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tholic Church in Germany
- 독일연구 Vol.37 목차
- 독일의 아동복지 정책과 관련 법제 연구
- ‘교육개혁’ 시기 독일 기민당(CDU)의 중등교육제도 정책
-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에 나타나는 법문학연구
- 2차 대전 후 독일의 영국군 점령지역에서의 고등교육개혁 고찰(1945-1948)
- 30년전쟁기 마그데부르크 함락 및 파괴를 다룬 독일 시사간행물의 보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