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ies on Diversity of Seed Weight in the Korean Soybean Land Races and Wild Soybean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S. H. Kwon(權臣漢) K. H. Im(任建爀) J. R. Kim(金在利)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 No.1, 70~74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72.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 試驗에서는 中部以南 全域에서 蒐集한 一般農家栽培種, 命名된 在來品種, 野生種, 美國, 臺灣, 越南에서 導入한 品種, 그리고 野生種과 栽培種間의 交配後代에 對한 種實重의 變異를 調査하였다.
1. 農家傳來種의 種實重의 分散은 뚜렸한 2個의 頂點을 갖이는 曲線을 그리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現在 大豆를 크게 두個 集團으로 區分해 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平均 百粒重은 各各 12g와 24g 이었다.
2. 農家傳來種의 分布를 보면 南部地方에는 小粒種이 많이 栽培되고 있고 中部地方에서는 大粒 乃至中粒種이 栽培되는 傾向을 알 수 있었다. 一般的으로 우리나라 大豆는 外國種에 比해 大粒型이 많이 栽培되고 있으며 全國에서 蒐集한 500餘種에 對한 平均百粒重은 22.2g이었으며 最高 44.8g서부터 最低 6.2g까지였다.
3. 우리나라 栽培種의 最低 百粒重 6.2g는 野生種中間型 百粒童 7.4g보다 작았다. 野生種과 栽培種間의 交雜은 容易하였으며 F₁와 F₃의 種實重은 兩母品種 사이에 分布하였으며 F₂의 一粒重 平均은 兩親의 幾何平均에 近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seed weight for land races, local named varieties, wild type collections, some introduced varieties, and F₂and F₃generations of a cross between cultivar and wild type of soybeans.
Land races currently grown by farmers were consisted with distinctly different two groups and averages of seed weight of the groups were 12g and 24g respectively. In general, the soybenan seeds grown in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were smaller than the seeds collected in middle part of the peninsula.
The cultivars grown in Korea are relatively large in seed size in comparison with the varieties grown in other countries. The seed weight of the collected land races ranged between 44.8 grams per 100 seeds and 6.2 grams and the average weight was 22.2 grams. Seed weight of F₂and F₃generations of a cross between wild and intermediate type ranged between parents and the average weight per seed of F₂generation was close to the value of geometric mean of the parents.
목차
ABSTRACT
材料 및 方法
結果 및 考察
摘要
LITERATURE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딸기 育種에 關한 基礎硏究 Ⅲ. 딸기 半促成栽培 品種의 特性
- 地方 蒐集系統 大豆의 蛋白質 및 脂肪含量의 變異 (Ⅰ)
- Prunus armeniaca의 葯培養에 關한 硏究
- 大小麥 幼穗分化 및 發育過程에 關한 硏究 1. 大小麥 幼穗分化基準設定에 關한 調査硏究
- 소나무 發育過程에 따른 過酸化同位 酵素型의 變異
- 在來種大豆와 野生種大豆의 種實變異에 關한 硏究
- 옥수수의 早期播種이 收量 및 成熟에 미치는 効果
- 질소시비량에 따른 수도변이계통의 단백질 함량변이
- 酸素가 X-線處理한 벼 種子에 미치는 影響
- 고추F₁의 雜種强勢와 形質相關
- 차아 염소산 나트륨(NaOCl)을 전 처리했을 때 염화나트륨(NaCl)이 초파리 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Morphological Variation of F2 Population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and var. frutescens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38권 제3호 목차
- Immature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Ethanol Extract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AMP-Activated Kinase in 3T3-L1 Preadipocyt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