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궁중문화축전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실증연구

이용수  450

영문명
An Empirical Study on the Economic Impact of Royal Culture Festival: Focus on the Input-Output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황성수(Hwang, Sung Soo)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42집, 249~27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 문화유산인 4대 궁궐과 종묘를 축제공간으로 활용하여 고궁을 살아있는 역사문화공간으로 재창조하고 문화유산 활용 대표 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하여 기획된 궁중문화축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궁중문화축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은 경제정책의 효과 측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산업연관분석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산업간 상호의존관계를 수량적으로 분석하여 최종수요가 유발하는 생산, 고용, 소득 등 각종의 파급효과를 구분하여 산정하고 파급효과를 산업부문별로 분석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제 1회와 2회 궁중문화축전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최종수요가 유발하는 생산, 고용, 소득 등 각종의 파급효과를 추정하였으며 궁중문화축전의 경제적 파급효과 산출을 위한 최종수요의 변동은 공공지출에 의한 최종수요의 변동과 방문객의 민간소비 최종수요 변동을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제 1회와 2회 궁중문화축전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1회 궁중문화축전(2015)의 경우 민간소비 최종수요 변동은 1,774.7백만원으로 추정되었으며, 경제적 파급효과의 경우 생산유발효과가 5,182.5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084.2백만원, 수입유발효과 566.6백만원, 고용유발효과는 74.1명으로 산출되었다. 둘째, 제 2회 궁중문화축전(2016)의 경우 민간소비 최종수요 변동은 9,564.5백만원으로 추정되었으며, 경제적 파급효과의 경우 생산유발효과가 22,524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 8,776백만원, 수입유발효과 2,435백만원, 고용유발효과는 314명으로 산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economic impact of Royal Culture Festival(2015 & 2016), based on 2014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Economic impacts are estimated separately by visitors consumption and Korea Culture Heritage Foundation s expenditures, internal and external effect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nalyzes the economic impacts of 2015 Royal Culture Festival, visitors consumption is 1,774.7 million won in total. And, total effects of expenditure are 5,182.5 million won in production, 2,084.2 million won in value-added, 566.6 million won in income, and 74.1 persons in employment respectively. Second, analyzes the economic impacts of 2016 Royal Culture Festival, visitors consumption is 9,564.5 million won in total. And, total effects of expenditure are 22,524 million won in production, 8,776 million won in value-added, 2,435 million won in income, and 314 persons in employment respectivel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체계
Ⅳ. 경제적 파급효과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성수(Hwang, Sung Soo). (2017).궁중문화축전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실증연구. 예술경영연구, 42 , 249-277

MLA

황성수(Hwang, Sung Soo). "궁중문화축전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실증연구." 예술경영연구, 42.(2017): 249-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