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과제와 전망
이용수 187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mpro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병수(Kim Byoung S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8호, 247~26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교과교육과정 개발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탐색 하여 발전적 시각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의 핵심을 ‘통합’과 ‘핵심역량’으로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방향을 크게 3가지로 범주화하였다. 첫째, ‘핵심역량과 연계한 국어과 교육과정’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에 서 요구되는 주요 능력을 개념화한 핵심역량을 기르기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어야 한 다. 둘째, ‘교사 친화적인 국어과 교육과정’이다. 교사 친화적인 교육과정은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사들에게 실제적 의미를 가지게 되어 교사들이 교육과정 문해력 확보 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학생 이해에 기반한 국어과 교육과 정’이다. 국어과 교육 내용의 계열성을 높이기 위해서 현재의 이론 추출 방식에서 실 증적 추론 방식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과제는 ‘문 이과 통합교육’의 기반이 되는 국 어 능력과 그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of 2015 revised curricula for Korean education, considerations for implementation and finally future prospects. First the transition of curriculum, dealing with the integration and core compentencies, and suggest the directi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is article suggested the following ideas : 1. Be connected core compentencie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 Core compentencies provides guidance for the future Korena language curriculum. 2. Teacher friendly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 It is relations on the authenticity and the curriculum literacy. 3. Student understanding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 A Viewpoint of Student understanding that subject development happen to learning in classroom instruction. Finding of this study expected to provide insights of where to focus in the subsequ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ion.
목차
Ⅰ. 머리말
Ⅱ. 국어과 교육과정과 핵심역량
Ⅲ.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방향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학교 예비체육교사를 위한 전공 발레수업의 계획과 실천
-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관련 변인 간 구조적 관계 연구
-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위험군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초등교사가 교과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사용하는 양상 탐색
-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관련 변인 간 구조적 관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 초등학생들의 신문을 활용한 토의 학습이 과학 자아효능감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NLP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성취동기와 진로성숙도 및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효과
- 예술작품을 통해 본 유아미술교육의 방향 탐색
- 초등학교 태권도 경기상황에 따른 학생선수심리상태분석
-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교원의 관심수준과 실행여건정비에 대한 인식 분석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초록 쓰기 교육 방안
- 초·중학교 교사의 직무만족과 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문화 적응과 성장 :
- 재개념화된 성취목표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학업상담 내담자의 특성 분석: 대학생 내담자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 간 비교
- 고등학교 물리교사의 예제문제에 대한 인식
- 학교문법의 학습방법에 대한 일 제언
-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각탐색 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시선 추적 특성
- 슈마허 대학에서의 생태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청소년 사회적 책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자기효능감, 교수맥락, 학습접근방식과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규명
- 과학 영재 교사에게 요구되는 특성, 지식 및 교수전략
- 칼럼 글쓰기에 대한 학습자 반응 및 지도 방안
- 대학생의 성인애착유형과 자기격려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재의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과제와 전망
-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인지정도, 재난간호역량 및 자아탄력성
- 이옥 전(傳)에 나타난 비관적 세계관의 문학교육적 의미와 가치 연구
- 자기 점검 전략을 활용한 시 읽기 방법
- 대학생의 적응적 완벽주의, 학업탄력성 및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 공감화 쓰기 과제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쓰기 수행의 차이
-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 및 팀 성과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