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Justification for Solving Ill-structured Mathematical Problems based on the Learning Styles of Elementar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주현정(Joo, Hyun Jung) 김민경(Kim, Min Ky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7호, 127~14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7.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非)구조화된 수학문제가 주어졌을 때 학습 스타일에 따라 보이는 문제해결전략과 정당화 유형 분석을 목적으로한다. 연구 결과, 각 학습 스타일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그들이 지니고 있는 정보 지
각 유형과 정보 처리 유형의 경향성과 일관되는 방식으로 사고하였다. 문제해결전략은 학생의 정보 지각 유형(구체적 경험, 추상적 경험)과 정보 처리 유형(능동적실험, 반성적 관찰)에 따라 차이점이 나타났고, 수학적 정당화 유형은 학생의 정보
처리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폭넓은 수학적 사고를 장려하는 비구조화된 문제의 적용을 통해 학생 자신의 학습 스타일을 고려한 문제해결에 대한 후속연구가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 s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while solving ill-structured problem based on the Learning Styles. As results,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types showed differences among learning styles. Problem solving strategies used by the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 students information perception type and information management type. Similarly, mathematical justification used by the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ir information management type. Students think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so teachers should be interested in their learning styles and encourage various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types. To a great degree, solving ill-structured problems helps students to develop their mathematical litera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음악과 교육과정의 역사적 고찰
-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만족도, 자기주도학습간의 관계 검증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기술 관련 과목의 성취 기준에 사용된 서술어 비교
- 초등학생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비(非)구조화된 수학문제에서의 문제해결전략 및 정당화 유형 분석
- 통합교육환경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활용 협력학습을 통한 비장애학생의 장애이해 태도와 장애학생의 쓰기능력 변화 분석
- 창의적 문제 발견 능력 함양을 위한 문학 ‧경제 융합 교육
- 상상력에 관한 연구 동향 및 유형 재탐색
- 스포츠 강사를 활용한 초등학교 체육 협력 수업
-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통한 학교급별 성교육 실태 분석
- 좋은 수업과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 “정서” 기반 체육과 정의적 수업의 교육적 가능성 및 수업 방법 탐색
-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학교폭력 인식 차이
-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의 인식 분석
- Kant 선험철학의 인식론에 대한 연구
- 교과교실제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재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쓰기 활동에서 동료 논평의 활용 가능성 탐색
- 진로결정과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습성과 인식의 관계 구조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Study on Ren Bishi’s Thought on the Work of the Youth League
- An Analysis of India’s Arctic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an Think Tanks
- Family Matters at Work: The Impact of Marital and Caregiving Roles on Employee Wellbeing Across Age Group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