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 글 채점 방법 및 채점 결과 기록 방법의 개선 방안
이용수 316
- 영문명
- The Method Improvements of Scoring Students Writings and Documenting Its Resul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민(Park, Young-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호, 183~19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 글의 채점 방법과 그 채점 결과의 기록 방법을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제안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학교의 쓰기 평가에서 적용해 온 채점 방법은 ‘정수 채점’이었는데, 이 글에서는 ‘소수 채점’ 방법으로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소수 채점은 소수 점수를 채점에 반영하는 방법으로서 연속 척도의 본질에도 부합할 뿐만 아니라, 쓰기 수업 개선에 필요한 정보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학교 쓰기 평가에서 적용해 오고 있는 채점 결과를 기
록하는 방법은 ‘총점 기록’이었는데, 이 글에서는 채점 요소별 점수를 나열하여 제시하는 ‘요소 점수 기록’ 방법으로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채점 하위 요소 별로 채점 결과를 기록하면 총점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별 점수가 어떠한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쓰기 수업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결합하여 적용함으로써 학생 글을 채점하는 학교 쓰기 평가가 좀 더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plore the problems with scoring students writing and documenting its results for communicating with the others(students, their parents, or school principal) in these days, and to suggest the method for improving or solving the problems. Korean language teachers used to apply the ‘integer scoring system’ to
evaluate their students writings. But this paper suggest ‘decimal scoring system’ instead of it, because ‘decimal scoring system’ has traits corresponding to continuous scoring scale and give the teachers specific information to reform writing classes based on understanding their students writing abilities or natures.
And, the most Korean language teachers used to apply ‘total point system’ to document the results of scoring students writings for communicating with their students, their parents, or the school principal. But this system has some problems with giving them concrete information to fix their writing classes because of non-informer of
their system. This paper suggest the important ‘element point system’ instead of total point system, because element point system has power to giv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 of total point and to offer concrete knowledge to improve their writing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학생 글 채점 방법의 개선
Ⅲ. 학생 글 채점 결과 제시 방식의 개선
Ⅳ. 채점 방법과 보고 방법의 분리 및 결합 운용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 탐구 과정 검토를 위한 SECE 컨설팅 모형의 제안 및 적용
- 충청남도 평생교육 실천에 관한 언론 보도 분석
- Flipped Learning 기반 대학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습성과 영향 요인간의 관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노인인권침해 지각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들이 이해하는 기초과학, 응용과학, 융합과학의 의미에 대한 언어네트워크 분석
- 지적장애학생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 재개념화를 위한 시론
- 사회성 동화를 활용한 극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행동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학생 글 채점 방법 및 채점 결과 기록 방법의 개선 방안
- 초등 체육교과 내용 교수 지식(PCK) 습득을 위한 실행연구
-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자질 함양에 대한 기대와 자기평가
- 지방대학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참여 결정요인 유형 및 특성연구
-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학교조직 진단 모형 구안
- 유아교육기관 부적응 유아를 위한 협력적 컨설팅프로그램 개발
- 중년남성의 통증/불편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운동능력과 일상활동의 매개효과-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
- 영어 기본 어휘 선정 기준의 고찰
- 자기계발과 대학생활’ 교양강좌 개발
- 성인 공감 척도(BES-A) 요인 타당화 연구
- 학령기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언어 및 읽기 능력
-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프로그램 질의 관계에서 자기탄력성의 매개효과
- 음악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교과 수업지식 함양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속담’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영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분석:
- 논술형 평가에 대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 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FLint 수업관찰 분석을 통한 학년별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분석
-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한 수업실습활동의 저해요인 탐색
- 청소년을 위한 스포츠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 거꾸로 교실과 일반 교실 수업의 비교 연구
- 유아교육관련 질적연구 동향분석:
- 학생의 인성과 학업성취도 관계의 종단적 분석
-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 영아반 하루일과에서 나타나는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양상과 그 의미 분석
- 체험적 운동장-장소성에 관한 의미 연구
- 대학생 자기 주도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당뇨보건교육 수행이 간호학생의 당뇨지식, 핵심간호역량 및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비교과 교육프로그램 사례
- Q 방법론을 활용한 대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인식유형연구
-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의 의미와 실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