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 학습공동체에서의 숙의가 학교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함의
이용수 829
- 영문명
- Implica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deliberation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승렬(Park Seung Ryu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2호, 617~64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학습공동체에서의 숙의가 학교 교육과정개발에 주는 함의 를 고찰하는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 8명으로 구성된 학 습공동체를 관찰하면서 숙의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 교 교육과정 개발 낯설게 보기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에서의 숙의는 교육과정 쟁점 조절하기의 성격을 갖는다. 셋째, 학교문화는 교육과정 숙의에 영향을 미치며, 실제 교육과정 문제를 반영한다. 넷째, 숙의과정에서 형성된 긴장과 불안은 학교 교육과 정 개선의 가능성을 낳는다. 다섯째, 학교는 교사가 창의적인 학습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생적 학습공동체를 지원해야 한다. 여섯째, 교사 간 신뢰와 유의미한 관계 가 형성되어야 학습공동체 내 본질적 가치를 공유할 수 있다. 학교 또는 숙의 참여 교사들은 학교 여건에 맞는 숙의 시스템을 형성해야 한다. 학습공동체와 같은 구조 적인 소통 방식을 마련하고, 충분한 시간과 행정적 지원을 통해 전문적 학습이 동반 되어야 정밀한 교육과정 숙의가 가능해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siders the implica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BCD) through deliberation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a formation and a development process of deliberation for the SBCD observing 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 in learning community.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unfamiliar approaches in SBCD are needed remarkably. Second, The deliberation functions adjustment of curriculum issues in schools. Third, cultural contexts of school have an influence on deliberation and describe practical curriculum issues. Fourth, tension and uncertainty formed in the process of deliberation produce the possibilities of curriculum improvement. Fifth, it was claimed that schools support school-initiated learning community to make enhance teachers development as an creative learner. Sixth, it must be build on a foundation of shard beliefs and meaningful relationships to share constitutive values in the learning community. Schools or teachers who participate in the curriculum deliberation must create the deliberative system meeting their own appropriate school conditions together. After setting up a structural interaction system like learning community, and then accompanying th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with plentiful time and administrative supports, we can deliberate a school curriculum closel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숙의의 과정
Ⅴ.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숙의가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함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녀 중학생의 학습습관 유형과 유형결정요인: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검토:
-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용을 위한 교육체계 수립 사례연구
- 문학과 만화 융합 수업의 개발 및 적용
- 청소년의 학생건강체력(PAPS)과 스포츠자신감이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에서 STEAM 교육 적용을 위한 초등교사와 특수교사의 요구 분석
- 간호대학 교수의 지도력 유형 분석
-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예비수학교사의 융합인재교육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 융복합교육에서 관찰평가의 적용 사례 분석
- 생명과학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고등학생의 시각적 주의집중 분석
- 위탁형 대안학교 학생의 학교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 협동학습기반 중학교 진로수업 학습성과에 대한 교수실재감과 상호작용 지각의 예측력 규명
-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역량의 타당성 분석
- 교사-학생 관계,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주요 과학 교육 학술지의 정의적 영역 연구 동향
- 인문사회·이공계열 대학 신입생의 교양교과과정 수강현황과 학업역량 및 진로적응능력에 관한 연구
- 초등특수교사가 국어 수업을 하며 겪은 경험과 인식을 통해 바라본 특수학급 수업의 구조적 상황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 교사용 지도서의 <도입> 내용 및 활동 분석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에너지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 구성방식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 포털사이트 기반 학습카페 활용 강좌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긍정적 경험 및 어려움 분석
-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연구
- 대학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동료멘토링 활용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관한 탐색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성적 인플레이션 연구: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성적배분에 대한 규제의 영향을 중심으로
- 또래 괴롭힘 관여 유형별 공격성에 관한 연구 : 적대적 귀인 및 규범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oh-Metrix를 활용한 새로운 이독 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수 역량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저해요인 탐색
- 교사 학습공동체에서의 숙의가 학교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함의
-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한 수업모형 중심의 수업비평
- 초등 체육에서 스포츠 영화를 활용한 경쟁 활동 수업하기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의 운영 현황 및 과제
- 외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한국어 높임표현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신념과 교육실습경험과의 관계
- 현대 초등교육 관점에서의 보통교육의 의미 분석
- 초등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한 과학사-CPS 수업 모형 기반 날씨 영역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 중등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을 통한 음악교사효능감 변화
- 내러티브 기반의 문학 교수-학습 요소 및 수업모형 고찰
- 하브루타 교육원리를 적용한 초등학교 독서토론 활성화 방안 연구
- 유아교육 관련 수업분석 연구동향 분석:
- 온라인 친화 공간에서의 영어쓰기 활동:
- 중·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사회적 지지가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예비초등교사의 좋은 체육 수업을 위한 교과영역 이해와 수업방법에 대한 인식
- 간호학과 진로체험 프로그램이 간호사 이미지와 진로경로에 미치는 영향
- 사범계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수・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인식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