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 분석

이용수  269

영문명
Differences about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iency, self-discrepancy, and emotion experience between pre and post-teaching practi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손강숙(Shon, KangSuk) 정소미(Jeong, SoM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6호, 163~18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의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3년제 대학의 유아 교육과 여학생 2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015년 2학기 교육실습을 다녀 온 학생 106명을 실험집단으로, 교육실습을 다녀오지 않은 114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교육실습 전과 후에 자기효능감 척도, 자기불일치 척도, 정서경험 척도를 실시하고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교육 실습 사전 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결과, 두 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후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 자기불일치 중 이상적 자기, 의무적 자기, 실제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차이, 실제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차이, 긍정적 정서경험과 부정적 정서경험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사후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긍정적 정서경험이 사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사후의 이상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 실제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차이, 실제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차이, 부정적 정서가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경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심리·정서적 개입에 대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ifferences about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iency, self-discrepancy, and emotion experience between pre and post-teaching practice. There were 220 participa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completed self-efficiency scale, self-discrepancy scale, and emotion experience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homogeneity test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it turned out that two groups were same. Second, after teaching practice,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self-efficiency, ideal self, ought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ought self among self-discrepancy, and emotion experienc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ir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self-efficiency and positive emotion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test. Moreover, ideal self, ought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ought self among self-discrepancy, and negative emo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pre-test. Finally, suggestions about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effective use of teaching practice through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강숙(Shon, KangSuk),정소미(Jeong, SoMi). (2016).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6), 163-185

MLA

손강숙(Shon, KangSuk),정소미(Jeong, SoMi).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2016): 163-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