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Breeding Materials with Diverse Grain Size and Shape in japonica Rice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박현수(Hyun-Su Park) 백만기(Man-Kee Baek) 남정권(Jeong-Kwon Nam) 신운철(Woon-Cheol Shin):정종민(Jong-Min Jeong) 이건미(Gun-Mi Lee) 박슬기(Seul-Gi Park) 김춘송(Choon-Song Kim) 조영찬(Young-Chan Cho) 김보경(Bo-Ky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9 No.4, 369~38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 diversify the grain size and shape of japonica rice, we developed the Breeding Materials with Diverse Grain Size and Shape (BM_DGS) and characterized the grain and yield-related traits. We used the donor parents Jizi1560 and Jizi1581, japonica germplasm with extremely large grain size. Four cross combinations between the each donor parents and Korean high yielding japonica rice cultivars, Deuraechan and Boramchan, were constructed and anther culture method was applied. Among 290 doubled haploid lines, we selected 91 elite lines with diverse grain size and shape and designated to the BM_DGS. The grain size and shape of BM_DGS exhibited beyond the characteristics of previously developed Korean rice cultivars. The alleles of major grain-related genes, GW2, GS3, and qSW5, in BM_DGS showed two types, wild type or loss-of-function mutant type.
The loss-of-function mutant alleles, gw2, gs3, and qsw5, had an effect on increasing grain size. The phenotypic variation of grain length was mostly controlled by GS3 alleles, and grain width and thickness were influenced by the combinations of GW2 and qSW5 alleles. 1,000-grain weight was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GW2, GS3, and qSW5. The grain-related genes influenced the phenotypic variation of yield-related traits.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in-related genes and agronomic traits. And the BM_DGS are being utilized in the breeding programs to diversify the grain size and shape in japonica rice.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아름2호/운광 RIL 집단을 이용한 벼 내냉성 QTL 탐색
- 조생종 고품질 단감 ‘미감조생’(Diospyros kaki Thunb.) 육성
- 식용 고구마 신품종 ‘풍원미’
- ‘Tano Red’와 ‘Ruby Seedless’ 교배 후대에서의 주요 과실 형질에 대한 평가
- 수확시기에 따른 노랑찰옥수수의 총카로티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
- rs2 유전자 마커를 이용한 Stachyose 저함량 콩 계통 선발
- 개화시기가 상이한 두 개의 무 계통간 개화유전자 서열변이 분석
- 한해에 강하고 불시출수에 둔감한 맥주용 2조 겉보리 품종 ‘광맥’
-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에 대한 무 유전자원의 저항성 평가
- 쓰러짐에 강하고 항산화 활성이 높은 팥 ‘검구슬’
- 단간 내도복 메조 ‘단아메
- 매운맛이 적고 숙기가 빠른 자색양파 ‘엄지나라’
- 자포니카 벼 입형 다양화 육종소재 개발 및 특성 분석
- 식물 발달과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ERF 유전자군의 다양한 역할과 조절기작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38권 제5호 목차
- 볼음도, 주문도, 아차도(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의 식물상
- 한련초(Eclipta prostrata)의 caspase-1 활성억제를 통한 비만세포 매개 알레르기 염증 억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