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oststructural Theorizing of “Experiences”:
이용수 1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Seung ho Moon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2권 제1호, 33~6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urgent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specifically the ontological conundrum that researchers commonly encountered in depicting experience and social reality. The turn to “experience” has expanded the modes of qualitative research by hearing “marginalized” voices, and thus increasing cultural awareness. Based on the review over multiple approaches to “experience” to enrich conversation in qualitative research, three major approaches to “experience” were identified, drawn from phenomenology, narrative inquiry, and critical ethnographic studies. This examination provided a platform to explore complex meanings of experience, defined by poststructuralist theories: (a) experience as discursively constructed, (b) experience as non-linear development, (c) experience as performative acts, and (d) experience as (im)possible representation. To conclude, I examined two major implications of poststructuralist theories to develop different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namely (a) interrogating experience built upon discursive subjectivity construction and (b) rethinking and restructuring experience differently. By debunking a normative approach to experience, I encourage qualitative researchers to revisit habitual ways of theorizing experience, while releasing their methodological imagination in qualitative research.
목차
I. Introduction
II. Thinking Theoretically and Theoretically Thinking
III. Multiple Meanings of Experience
IV. Complicating “Experience” from Poststructuralist Theories
V. Doing Qualitative Research “Poststructurally”
VI. Final Remark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