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율형 사립고 진학포부에 따른 사교육 격차:
이용수 1,173
- 영문명
- The Private Tutoring Gap according to the Aspiration for Self-governing Private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김준엽(Kim Jun yeop)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6권 제4호, 119~1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KELS 2013 1~3차년도 자료 및 KELS 2005 자료를 활용하여 고교다양화 정책 이후 자율형 사립고의 팽장에 따른 진학포부의 변화양상, 자사고 진학포부 집단과 일반고 진학포부집단간의 특성차이, 자사고 진학포부의 사교육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사고 진학포부는 특히 서울지역에서 지난 10년간 급격히 팽창하였고, 자사고 진학포부 집단은 사회경제적 배경, 부모의 지원요소, 학업관련 태도 및 수준 등에 있어서 일반고 진학희망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면서 더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및 부모지원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 두 집단간 사교육격차는 사교육참여 및 사교육비 지출 모두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사교육비에서 두 집단간 차이가 서울지역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Using KELS 2013 1st through 3rd year data and KELS 2015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in the aspirations for the self-governing high schools(SGPH)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spiration groups and the effect of the SGPH aspiration on the participation and expenditure of private tutoring. Over the past decade, the SGPH seeking aspirations have expanded rapidly especially in Seou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parents’ support factors, academic attitudes between the SGPH and general high school aspiration groups. Also, these difference were found to be more evident when they advanced from elementary upper garde to middle school. After controlling for background and parental support variables, the gap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participation and expenditure of private tutoring.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ably significant in Seoul.
목차
I.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II. 연구방법
III. 분석결과
IV.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리과정 시행에 따른 시·도별 지방교육재정 세출 경향 및 격차 분석
- 학교규모와 학급규모가 학생과 교사의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역교육현안수요 특별교부금 배분의 공평성 및 영향요인 분석
- 지방교육재정의 변화추이 분석에 따른 문재인정부의 정책 과제
- 2단계 자료포락분석(Two-Stage DEA)을 이용한 서울시 공립유치원의 운영효율성 분석
- 자율형 사립고 진학포부에 따른 사교육 격차:
- 비용함수를 활용한 표준유아교육비 산출 연구
- 대학 졸업유예가 취업 및 임금에 미친 효과
- 소규모 학교군별 재정 운영 비교 분석
- 중등교원양성기관 학생의 임용시험대비 사교육비 실태 분석
- 문재인정부 초·중등교육재정의 쟁점과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