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궁내막암과 자궁내막기질과의 체액성 소통을 매개하는 사이토카인의 선별
이용수 19
- 영문명
- Screening Cytokines that Mmediate the Humoral Cross-Talk between Endometrial Cancer and Endometrial Stroma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건(Seung Gun Lee) 권준하(Jun Ha Kwon) 문경원(Kyung Won Moon) 조한태(Hantae Jo) 민철기(Churl K. Min)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7권 제3호, 143~14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암세포의 성장, 침윤 그리고 전이는 모두 암세포와 주변 기질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암세포와 주변 기질과의 상호 소통하는 환경을 암-미세환경(cancer microenvironment)이라 한다.
본 연구는 암-미세환경에서 암세포와 기질세포 사이의 소통을 매개하는 화학 매개자인 사이토카인을 선별,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간의 자궁내막암세포와 자궁내막 기질세포를 체외에서 3차원적으로 공배양하여 자궁내막암의 암-미세환경을 재현하였다. 이 때 암세포와 기질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을 RT-PCR, 면역닷블럿팅어레이(사이토카인 에세이)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암세포나 기질세포를 각각 단독 배양할 때와 비교하여 공배양 시 조건 배지(conditioned media)에 Angiogenin, Chitinase-3-like 1, Cystatin C, Dickkopf wnt signaling pathway inhibitor 1(DKK-1), Osteopontin,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15(GDF-15) 등 6종류의 사이토카인의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공배양 시 기질세포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3(TGFβ1-3), basic FGF(bFGF), Chemokine C-X-C motif ligand 12(CXCL12) 등 5종의 mRNA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향후 이들 체액성 소통 매개인자인 사이토카인의 차단과 같은 방법은 암을 제어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