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한 내수발아성 제면용 밀 신품종 “수강밀”

이용수  14

영문명
A New Wheat Variety, “Sukang” with Good Noodle Quality, Resistant to Winter Hardiness and Pre-harvest Sprouting
발행기관
한국육종학회
저자명
박철수(Chlul Soo Park) 허화영(Hwa-Young Heo) 강문석(Moon-Suk Kang) 김홍식(Hong-Sik Kim) 박형호(Hyung-Ho Park) 박종철(Jong-Chul Park) 강천식(Chon-Sik Kang) 김학신(Hag-Sin Kim) 정영근(Young-Keun Cheong) 박기훈(Ki-Hun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육종학회지』Vol.41 No.1, 44~50쪽, 전체 7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3.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내재해성이 강한 국수용 밀 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1994년도에 수원266호를 모본으로 하고 아사가 제를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여 SW94134 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과 수형이 양호하고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SW94134-B-9-6-1-3-4-3을 04~05년도 2년간 생산력검정을 거쳐 “익산31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6년부터 3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제면 특성이 우수하고 수발아저항성이면서 도복에 강하고 농업형질이 우수하여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 품종선정심의회에서 “수강밀”로 명명하고 전국의 전작 및 답 리작 지역의 농가에 보급하게 되었다. 그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강밀의 출수기와 성숙기는 각각 4월 29일과 6월 8일로 금강밀과 비슷하고, 간장과 수장은 각각 90 cm와 8.1 cm로 금강밀보다 약간 길다. 2. 수강밀의 파성은 III 형이고, 수발아 저항성이 강한 내수 발아성 품종이며, 내한성도 금강밀보다 강하지만, 흰가루병과 붉은곰팡이병은 금강밀과 비슷한 감수성이다. 3. 수강밀의 제분율은 금강밀보다 약간 낮고 단백질 함량과 회분 함량이 높아 밀가루색이 어둡지만 단백질 질적 특성은 국수용에 적합하다. 4. 수강밀의 리터중은 금강밀과 비슷하지만 천립중이 낮아 금강밀보다 약간 소립이며, 지역적응성 시험에서 전작 수량은 5.34 MT/ha, 답리작 수량은 4.72 MT/ha로 금강밀보다 각각 4%와 1% 적었다.

영문 초록

“Sukang”, a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Suwon266” / “Asakaze” during 1994. “Sukang” was evaluated as “Iksan312” in Advanced Yield Trial Test in 2005. It was teste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test between 2006 and 2008. “Sukang” is an awned, semi-dwarf and hard winter wheat, similar to “Keumkang” (check cultivar). The heading and maturing date of “Sukang” were similar to “Keumkang”. Culm and spike length of “Sukang” were 90 cm and 8.1 cm, longer culm length and similar spike length compared to “Keumkang” (80 cm and 7.9 cm, respectively). “Sukang” had similar test weight (819 g/L) and lower 1,000-grain weight (40.2 g) than “Keumkang” (813 g/L and 44.9 g, respectively). “Sukang” showed resistance to winter hardiness and pre-harvest sprouting, which lower withering rate on the high ridge (4.5%) and rate of pre-harvest sprouting (0.2%) than “Keumkang” (21.9% and 30.4%, respectively). “Sukang” had lower flour yield (71.1%) and higher ash content (0.45%) than “Keumkang” (74.1% and 0.42%, respectively). “Sukang” showed lower lightness (89.13) and higher yellowness (10.93) in flour color than “Keumkang” (90.02 and 9.28, respectively). It showed higher protein content (12.8%) and gluten content (11.1%) and lower SDS-sedimentation volume (56.8 ml) and mixing time of mixograph (2.6 min) than “Keumkang” (11.9%, 10.2%, 62.3 ml and 4.7 min, respectively). Fermentation properties, amylose content and pasting properties of “Sukang” were similar to “Keumkang”. “Sukang” showed different compositions in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subunits (HMW-GS, 2*, 13+16, 2+12) and puroindolines (pina-1b/pinb-1a) compared to “Keumkang” (2*, 7+8, 5+10 in HMW-GS and Pina-1a/Pinb-1b in puroindolines, respectively). “Sukang” showed lower hardness (4.53 N) and similar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cooked noodles (0.94 and 0.63) compared to “Keumkang” (4.65 N, 0.93 and 0.64, respectively). Average yield of “Sukang”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 was 5.34 MT/ha in upland and 4.72 MT/ha in paddy field, which was 4% and 1% lower than those of “Keumkang” (5.55 MT/ha and 4.77 MT/ha, respectively). “Sukang”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10℃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인 용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철수(Chlul Soo Park),허화영(Hwa-Young Heo),강문석(Moon-Suk Kang),김홍식(Hong-Sik Kim),박형호(Hyung-Ho Park),박종철(Jong-Chul Park),강천식(Chon-Sik Kang),김학신(Hag-Sin Kim),정영근(Young-Keun Cheong),박기훈(Ki-Hun Park). (2009).내한 내수발아성 제면용 밀 신품종 “수강밀”. 한국육종학회지, 41 (1), 44-50

MLA

박철수(Chlul Soo Park),허화영(Hwa-Young Heo),강문석(Moon-Suk Kang),김홍식(Hong-Sik Kim),박형호(Hyung-Ho Park),박종철(Jong-Chul Park),강천식(Chon-Sik Kang),김학신(Hag-Sin Kim),정영근(Young-Keun Cheong),박기훈(Ki-Hun Park). "내한 내수발아성 제면용 밀 신품종 “수강밀”." 한국육종학회지, 41.1(2009): 44-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