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물육종신기술(NPBTs)의 발전에 따른 신규식물(Novel Plant)의 위해성평가 동향
이용수 58
- 영문명
- Novel Plant Breeding Techniques and Risk Assessment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임명호(Myung-Ho Lim) 우희종(Hee-Jong Woo) 신공식(Kong-Sik Shin) 류태훈(Tae-Hoon Ryu) 여윤수(Yunsoo Yeo) 권순종(Soon-Jong Kweon) 박순기(Soon Ki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6 No.4, 333~34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novel plant breeding techniques (NPBTs) have emerged, and safety assessment of the novel plant(s)
generated using the NPBTs has drawn the attention of many stakeholders. The notabl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plan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almost impossible to distinguish from the natural mutations in the conventional counterparts, because site-directed nuclease (SDN) and oligonucleotide-directed mutagenesis (ODM) could introduce short indel(s) in the targeted region(s) of the chromosomes. Secondly, the genome constitution of novel plants is almost identical to that of their conventional counterparts, eventually becoming indistinguishable by the introduction of only unmodified gene(s) from sexually compatible species to the target host plant. Thirdly, it is possible to generate new plants that have the desired traits, but without introducing genes. These plants will have some modified bases in their genome by selecting null-segregant(s) from heterozygous transgenic
plants or by other epigenetic methods.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d many countries develop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have concluded that novel plants developed using SDN, ODM, cisgenesis, intragenesis, or null-segregant techniques are treated in the same manner as non-genetically modified (GM) plants or may even have less strict risk assessments depending on the case. Additionally, grafting and agro-infiltration are methods that can be used to avoid or reduce the burden of current strict GMO risk assessment. The risk assessments of some of the novel plants have already been performed and those of commercially important plants are expected to be performed in the near future.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petitive and practical NPBT that can mitigate the concern and revulsion toward GMOs in Korea.
목차
서 언
본 론
결 론
적 요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삼 유전자원 장기보존을 위한 종자 초저온보존 조건 구명
- 벼 중만생 양질 내병 다수성 ‘희망찬’
- 한국 콩 29품종의 물 소모량에 대한 수분이용효율 산정
- 형질전환 해충저항성 벼의 주요영양성분 및 항영양소 분석
- 중만생 다수성 청차조 ‘삼다찰’
- 양파 F1종자생산용 중만생계 웅성불임계통 ‘원예 30006’
- 친환경재배 적응 벼멸구 저항성 고품질 벼 ‘친들’
- 당도가 높고 도복에 강한 노란 단옥수수 ‘고당옥’
- 자색 찰성 겉보리 신품종 ‘보안찰’
- 식물육종신기술(NPBTs)의 발전에 따른 신규식물(Novel Plant)의 위해성평가 동향
- S-allele Specific PCR 분석에 의한 사과와 꽃사과 품종의 자가불화합성 유전자형 동정
- 당근의 약배양으로부터 직접 및 간접 배형성을 통한 식물체 생산 체계 확립
-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VOLUME 46, NO. 4 목차
- 양질 다수성 무엽이 청보리 신품종 ‘조미’
-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자색 찰성 쌀보리 ‘보석찰’
- 복합내병성 조생 고품질 벼 ‘산호미’
- 노란색 홑꽃형 조기개화성 스프레이 국화 ‘드림프린스’ 육성
- 적색 대형 절화용 장미 ‘썸머레드’ 육
- 내도복성 및 내수발아성 고품질 가공밥 적성 벼 ‘중모1017’
- 국내 재래종 콩(Glycin max (L.) Merrill ) 유전자원의 지리적 특성변이와 유전적 다양성
- 가뭄저항성벼(Agb0103)의 분자생물학적 특성과 안전성 평가
- 한국육종학회 논문투고 및 심사규정
- 밀의 저분자 글루테닌 서브유닛 단백질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