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업지원제도를 포함한 창업환경이 창업활동 및 일자리창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05
- 영문명
-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Including Entrepreneur Support System on Entrepreneurial Activities and Job Creation : Based on GEM Data
- 발행기관
- 한국창업학회
- 저자명
- 강개석(Kang, GaeSeok) 이종건(Lee, JongK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창업학회지』제12권 제5호, 215~23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GEM의 국가별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창업환경이 창업활동과 일자리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창업환경변수는 GEM이 조사한 국가별전문가조사(NES)를 활용하였으며, 창업기업 자금조달력, 창업관련 정부정책, 창업관련 세금 및 규제, 정부 창업 프로그램, 기초 창업교육, 성인 창업교육, 연구개발 이전, 창업지원 인프라, 내수시장 활성화, 시장진입 활성도, 물리적 인프라, 문화 사회적 인식을 포함한 총12개의 측정항목을 사용하였다. 창업활동 변수는 기회창업률, 기술창업률, 중견기업률, 창업동기비율, 혁신창업률을 활용하였다. 일자리창출 변수로는 종업원 창업활동과 대량고용창출 예측률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창업환경 변수 중에서 물리적 인프라 지원과 기초창업교육, 사회 문화적 인식이 일자리창출 변수인 대량고용창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on entrepreneurial activities and job Creation, based on national research data compiled by GEM. As a result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variables, the NES (National Experts Survey) of GEM twelve elements were utilized. EBO (Established Business Ownership rate), PO (Perceived Opportunities), PC (Perceived Capabilities), MI (Motivational Index) and INNO (Innovation) used variables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Job creation variables used EEA(Entrepreneurial Employee Activity) and HJCE (High Job Creation Expec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arameter PINFRA (Physical and services Infrastructure), BEDU (Basic school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CSN (Cultural and Social Norms) have influence on job creation variables HJCP (High Job Creation Expectation) and EEA (Entrepreneurial Employee Activ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참고문헌/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프랜차이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평판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창업보육 수요자 관점에서의 창업보육매니저가 갖추어야할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 국내 사회적기업의 제도적 논리와 운영 모델 탐색
- 국가 간 비교를 통한 대학생 창업의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창업지원제도를 포함한 창업환경이 창업활동 및 일자리창출에 미치는 영향
- 창업기업의 감사품질
- IT 창업기업의 기술사업화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행위자기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ABMS)을 활용한 창업과정의 이해
- 소셜벤처의 조직화와 제도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창업기업의 사내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플랫폼 비즈니스의 조절효과
- 햇살론 이용자의 신용특성이 신용보증사고에 미치는 영향
- 재도전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비영리조직의 기업가지향성이 조직역량을 통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식정보산업의 권역별 입지계수 기반 산업생태계 경쟁력 연구
- The Determinants of Survival of Initial Public Offerings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Journal of Asian Business innovation (JABI) Vol.2 No.1 Contents
- Assessing the Influence of Downgrade Momentum on Evaluating Credit Migrating Metrices
- Study on the Management Mechanisms of Ar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